제1 언어학습 theory(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15 22:06
본문
Download : 제1 언어학습 이론.hwp
㈁ Performance(언어수행) - 언어적 사건들의 실제적 산출(말하기, 쓰기) 또는 이해(듣기, 쓰기)를 말한다. 그러나 어휘/문법 측면에서는 Production이 Comprehension 보다 앞서는 경우도 있으므로 Comprehension이 항상 Production을 선행한다고 단정지워서는 안된다
(3) Nature Or Nurture (선천성과 후천성)
Chomsky는 ‘인간이 생득적으로 언어지식 혹은 언어를 배우려는 경향성을 가지며 이런 생득적 특징 ·자질(LAD, UG)은 모든 인간에게 보편적이다’ 라고 말한다.(2)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이해와 표현)
㈀ 이해 Comprehension = Input= Decoding(Listening, Reading)㈁ 표현 Production = Output= Encoding(Speaking, Writing)
- 아동의 언어를 연구해 본 결과 Comprehension이 Production을 훨씬 능가함이 드러났다.제1언어학습theory(이론)-7
언어학습에 대한 이론 정리제1언어학습이론-7 , 제1 언어학습 이론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제1 언어학습 theory(이론)
설명
제1언어 습득의 논점
(1) Competence and Performance(언어능력과 언어수행)
㈀ Competence(언어능력) - 언어체계에 관한 기저 지식, 즉 문법 규칙, 어휘 언어를 구성하는 제반 요소들 그리고 그 요소들이 결합되는 방식에 관한 지식을 말한다.이…(To be continued )
(4) Universals (보편성)
순서






언어학습에 대한 theory(이론) 요점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제1 언어학습 이론.hwp( 43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