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사직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24 10:45
본문
Download : 서울 사직단.hwp
china(중국) 마지막 왕조인 청 왕조의 사직단 형식을 적은 ‘청회전도’의 예제에도 “ 사직단은 궁 오른쪽에 있으며 단은 2중으로 높이가 4척인데 상단은 한 변이 5장이고 하단은 5장 3척이며 네 군대 흰 돌로 된 계단이 있고 동서남 3면의 계단은 4급으로 같고 북면은 나무 사다리로 8급이며, 상단에는 5색 흙을 덮었는데 중황, 동청, 남적, 서백, 북흑이고 중앙에 돌로된 사주(社主)가 있어서 반은 흙속에 있고, 제사가 끝나면 전부 묻으며 나무 뚜껑으로 덮는다” 라고 하였다.
설명
레포트/기타
다. 단에 모시는 신위는 국사신과 국직신은 남쪽에 놓고 북향토록하며 사단에 후토신, 직단에 후직신을 별도로 북쪽 가까이 동향하여 모신다.서울사직단 , 서울 사직단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Download : 서울 사직단.hwp( 45 )
서울 사직단의 제도와 형식 제례 등에 대해 조사한 reference(자료)입니다. 각 단에는 네군데에 계단을 설치하고 단 바깥으로 울타리를 치는데 이를 유(壝)라 하고 유의 사방에도 문을 둔다.
이상은 전통적인 사직단의 형식으로 이 형식은 시대의 변쳔이나 국가의 흥망에도 불구하고 거의 변동없이 지켜져 왔다.
…(drop)
서울사직단
서울 사직단의 제도와 형식 제례 등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동은 청색, 남은 적색, 서는 백색, 북은 흑색이고 중앙은 황색이다.
서울 사직단




순서
단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사단과 직단을 따로따로 설치하는데 사단이 동쪽, 직단은 서쪽에 놓이며 각 단에는 다섯 가지 색깔의 흙을 덮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