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어업협정과 독도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25 11:59
본문
Download : 한·일 어업협정과 독도문제.hwp
④전통적 조업실적 보장
1)日本(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에서의 한국의 명태조업은 협정시행 초년도에는 1만 5000톤으로 제한하고 2차년도부터는 ZERO로 한다. 한일어업협정과독도문제123 , 한·일 어업협정과 독도문제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다.
2)이 중간수역에서는 기국주의 원칙하에 자원의 공동관리를 실시한다.
⑤불법 조업 단속
-양국은 각각 자국의 국내법에 대한 위반조업을 엄격히 단속하기로 한다.
2)日本(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에서의 한국의 대게조업은 협정시행 초년도에 기존 실적의 50%를 감축하고, 2차년도에 나머지 50%를 감축한다.
한일어업협정과독도문제123
Download : 한·일 어업협정과 독도문제.hwp( 42 )
한일 어업 협정 체결의 개념과 배경, 의의 등을 고찰한 리포트입니다.
3)명태와 대게를 제외한 나머지 어종의 경우 3년에 걸쳐 한일양측의 어획할당량이 동량이 되도록 연차적으로 조절한다. 96년 日本(일본)이 독도를 日本(일본)의 영토라…(To be continued )
한·일 어업협정과 독도문제
한일 어업 협정 체결의 concept(개념)과 배경, 의의 등을 고찰한 리포트입니다. 먼저 日本(일본)政府는 이번 어업협정으로 인해 우선 독도를 국제적 분쟁거리로 만들었고, 또한 그들의 주장을 한국이 수용함으로 인해 국제 사회에서 독도가 日本(일본) 영토로 인식되도록 만들었다.






③제주도 남부수역
1)제주도 남부와 큐슈 서부 사이의 수역에 일정범위의 중간수역을 설정한다.
3. 신한·일 어업협定義(정의) problem(문제점)
98년도 어업협정에 관해 대체적으로 우리측은 많은 피해를 보았으며, 日本(일본)은 많은 이득을 보았다는 평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