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일제의 우민화 교육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8 20:32
본문
Download : [인문] 일제의 우민화 교육정책.hwp
2) 이러한 의도는 보통학교의 목적을 “실용에 맞는 인물을 만드는 데에 있다 ”고 한 데라우치 총독의 훈시에서도 드러난다.
3. 복선제의 도입
1) 일제는 1922년 조선교육령을 개정하여 소학교와 보통학교를 병행하는 복선제를 도입했다.
2) 또한 성균관을 폐지하여 경학원으로 대치하여 전통교육을 말살하려 했다.
2) 또 중학교는 고등학교(고등보통학교)로 개칭하고 7년의 수업연한을 3~4년으로 단축하였다.
2) 이는 보통학교 또는 고등보통학교 이상의 교육이 없다는 것을 내보이기 위한 것으로, 우리 교육을 저급화하기 위한 의도에서 시행한 것이다.
8. 국민학교령(1941)
1) 일제는 ‘소학교’라고 부르던 초등교육기관을 1941년 ‘국민학교’로 개칭한다.
2) 간이학교는 수업 연한 2년에 80명 정도의 1개 학급만을 설치할 수 있는 학교로, 보통학교에 연결되는 기관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완전한 종결교육기관이었다.
Download : [인문] 일제의 우민화 교육정책.hwp( 33 )
다.
[인문] 일제의 우민화 교육정책
인문,일제,우민화,교육정책,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인문]%20일제의%20우민화%20교육정책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C%9D%BC%EC%A0%9C%EC%9D%98%20%EC%9A%B0%EB%AF%BC%ED%99%94%20%EA%B5%90%EC%9C%A1%EC%A0%95%EC%B1%85_hwp_01.gif)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