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사의 새로운 인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21:52
본문
Download : 한국 근대사의 새로운 인식.hwp
즉, 여기서 말하는 近代는 구시대의 묵은 질서를 타파하고 새로운 세계질서에 순응한다는 의미이다. 개항시기 위정척사파는 개항을 결사반대 했다. 하지만 역싸는 계속 새로이 평가되어야 한다. 학계에서는 아직 opinion(의견)이 요점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그럼에도 이 시기를 근대사의 기점으…(To be continued )
순서






한국근대사의새로운인
설명
한국 근대사를 시기별로 정리하고 조사하면서 느낀 점을 간략하게 서술하였습니다. 그러므로 근대의 처음 을 日本(일본)의 침략시기로 본다면 우리의 근대사는 침략위주의 역싸로 얼룩지게 될 것이다. 한국근대사의새로운인 , 한국 근대사의 새로운 인식경영경제레포트 ,
Download : 한국 근대사의 새로운 인식.hwp( 82 )
다.한국 근대사를 시기별로 정리(arrangement)하고 조사하면서 느낀 점을 간략하게 서술하였습니다.
한국 근대사의 새로운 인식
레포트/경영경제
,경영경제,레포트
첫 번째로 이야기할 것은 시기구분 문제이다. 그들은 개항의 주도권이 어디에 있는가 하는 것에 따라 이후 정치, 경제, 사회, 文化의 흐름이 바뀌어 갈 것임을 예견한 것이다. 종래에는 한국 근대사의 출발점을 일제의 침략기로 보는 불합리한 시각이 있었다. 우리는, 문호개방 자체가 능동적인 대안을 가지고 정치교섭을 하였다면 모르나, 그렇지 않다면 우리 스스로가 日本(일본)의 침략을 문서적으로 인정한 것이 되는 것이다. 역싸는 단순한 사실이나 사건들의 나열이 아니라, 그것을 어떻게 평가하는가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일것이다 예를 들어 80주년을 훌쩍 넘긴 3 1운동을 평가함에 있어서도, 50년 전의 평가와 민족의 통일을 앞두고 있는 지금의 평가는 당연히 달라져야 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민족의 자율적 역량표출과 민족사 내부의 발전법칙이라는 면을 중시하여 볼 때, 우리 근대사의 기점은 1860년대 초기로 보아야 한다. 동서양의 역싸학자나 철학자들은, 역싸를 시대 구분할 수 있어야 하며, 그렇게 할 수 있다면 그 나라 역싸의 70∼80%는 이해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미국처럼 짧은 역싸를 간직한 나라도 그렇고, China처럼 긴 역싸도 그러하다.
근대의 처음 은 1860년대부터를 그 시점으로 잡아 보아야 한다. 과거에 흔히 하던 대로 1905년이나 1910년 같은 시기를 근대의 기점으로 잡는 것은 의미가 없을 것이다. 그 대표적인 사람이 최익현인데 이 사람은 持斧上疏 - 도끼를 들고서 `내 말이 틀렸으면 이 도끼로 나의 목을 치소서`라는 가장 격렬한 형태의 상소 - 까지 하며 개항을 반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