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사회] 성(誠)과 경(敬)과 중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0 07:04
본문
Download : [인간과 사회] 성(誠)과 경(敬)과 중용.hwp
그러나 주일(主一)은 하나의 형식이기 때문에 그 내용이라 할 수 있는 집의(集義)가 필요하다. 경은 성의 용(用)이요, 성은 경의 체(體)라고 규정할 수 있다아
Ⅲ. 栗谷의 敬과 誠의 工夫論的 性格 및 關係
1. 敬 공부의 내용과 성격
율곡의 경 공부는 지 공부에 상응하는 행 공부이면서 동시에, 그 자체는 “근본”의 성격이…(To be continued )
![[인간과%20사회]%20성(誠)과%20경(敬)과%20중용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A%B0%84%EA%B3%BC%20%EC%82%AC%ED%9A%8C%5D%20%EC%84%B1(%E8%AA%A0)%EA%B3%BC%20%EA%B2%BD(%E6%95%AC)%EA%B3%BC%20%EC%A4%91%EC%9A%A9_hwp_01.gif)
![[인간과%20사회]%20성(誠)과%20경(敬)과%20중용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A%B0%84%EA%B3%BC%20%EC%82%AC%ED%9A%8C%5D%20%EC%84%B1(%E8%AA%A0)%EA%B3%BC%20%EA%B2%BD(%E6%95%AC)%EA%B3%BC%20%EC%A4%91%EC%9A%A9_hwp_02.gif)
![[인간과%20사회]%20성(誠)과%20경(敬)과%20중용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A%B0%84%EA%B3%BC%20%EC%82%AC%ED%9A%8C%5D%20%EC%84%B1(%E8%AA%A0)%EA%B3%BC%20%EA%B2%BD(%E6%95%AC)%EA%B3%BC%20%EC%A4%91%EC%9A%A9_hwp_03.gif)
![[인간과%20사회]%20성(誠)과%20경(敬)과%20중용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A%B0%84%EA%B3%BC%20%EC%82%AC%ED%9A%8C%5D%20%EC%84%B1(%E8%AA%A0)%EA%B3%BC%20%EA%B2%BD(%E6%95%AC)%EA%B3%BC%20%EC%A4%91%EC%9A%A9_hwp_04.gif)
![[인간과%20사회]%20성(誠)과%20경(敬)과%20중용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A%B0%84%EA%B3%BC%20%EC%82%AC%ED%9A%8C%5D%20%EC%84%B1(%E8%AA%A0)%EA%B3%BC%20%EA%B2%BD(%E6%95%AC)%EA%B3%BC%20%EC%A4%91%EC%9A%A9_hwp_05.gif)
![[인간과%20사회]%20성(誠)과%20경(敬)과%20중용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A%B0%84%EA%B3%BC%20%EC%82%AC%ED%9A%8C%5D%20%EC%84%B1(%E8%AA%A0)%EA%B3%BC%20%EA%B2%BD(%E6%95%AC)%EA%B3%BC%20%EC%A4%91%EC%9A%A9_hwp_06.gif)
율곡의 경과 성의 성격을 분석하되, 상호관련성 속에서, 그리고 공부론적 관점에 입각해서 접근하고자 한다.
레포트/기타
설명
율곡의 경과 성의 성격을 분석하되, 상호관련성 속에서, 그리고 공부론적 관점에 입각해서 접근하고자 한다. 이이(李珥)는 경을 성(誠)에 이르는 공부로 파악한다. 더불어 본고에서는 율곡의 경과 성의 공부론적 성격 및 관계를 보다 분명하게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한 부분에서 주자나 퇴계의 공부방법론적 논의와의 비교를 시도하고자 한다. , [인간과 사회] 성(誠)과 경(敬)과 중용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Download : [인간과 사회] 성(誠)과 경(敬)과 중용.hwp( 44 )
순서
다. 그리고 우리가 경에 있으면 천리(天理)는 자연히 밝아진다고 한다. 경하면 극복될 자기가 없는 것이다. 더불어 본고에서는 율곡의 경과 성의 공부론적 성격 및 관계를 보다 분명하게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한 부분에서 주자나 퇴계의 공부방법론적 논의와의 비교를 시도하고자 한다. 경은 한 가지 일을 함양할 뿐이므로 어떤 일이 있으면 마땅히 옳은 일을 모아야 한다. 그러므로 경에 의가 없으면 현실적인 일에 착오가 일어나고 의만 있고 경이 없다면 근본이 없으며 의라 할 수도 없는 것이라고 하였다.
[인간과 사회] 성(誠)과 경(敬)과 중용
Ⅰ. 서론
Ⅱ. 성(誠) 과 경(敬)의 이해
1. 성 (誠)
2. 경(敬)
Ⅲ. 栗谷의 敬과 誠의 工夫論的 性格 및 關係
1. 敬 공부의 내용과 성격
2. 誠의 의미와 敬 공부와의 관계
Ⅳ. 結論
또한 경으로 마음을 바르게 할 수 있으면(敬以直內), 의로써 일을 반듯하게 할 수 있다(義以方外). 정이는 속마음 가운데에 있는 것은 모두 바깥으로 나타나므로 오직 마음 속을 바로잡지 못할까 두렵다고 하였다. 마음이 곧으면 반드시 바른 언행을 행하게 된다된다. 경을 쓸 줄만 알고 옳은 일을 모을 줄 모르면 도리어 모두 다 아무 일도 없게 된다된다. 정이가 말하는 주일은 마음이 천리와 합치되는 것이며 밖의 사물에 이끌리지 않는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