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5 23:05
본문
Download : 공자의 사상_2036595.hwp
유덕은 유언을 결정할 수 있으나, 유언은 유덕을 결정할 수 없다고 하였다.공자의사상 , 공자의 사상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공자의 사상_2036595.hwp( 18 )
다.
형구아에 대하여 공자는 형구의 생사는 따지기에 부족하다고 하였다. 형구생활의 득실은 본래 자기가 제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군자는 덕성을 밝히는 것을 근본으로 삼고 생각마다 올바름을 얻는데 둔다. 군자는 도를 꾀하지 식을 꾀하지 않으며, 단지 시비의 문제에 마음을 쓰고 형구의 욕구를 만족시키는데 마음을 쓰지 않는다고 하였다.공자의 사상






○공자의 자아문제에 대한 태도
공자의 자아문제에 대한 태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로 그의 각종 가치理論(이론)에 대한 논설을 통해 觀察(관찰) 할 수 있다아 유언과 유덕의 관계는 지와 인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공자는 안회가 곤궁함을 염두에 두지 않는 것을 지극히 칭찬하였다. 공자는 이미 …(drop)
공자의사상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공자의 사상과 공자의 文化문제에 대한 태도에 대하여 설명(說明)했습니다. 이것은 인자하면 반드시 지혜를 낳을 수 있으나, 지혜롭다고 반드시 인자함을 세울 수 있는 것이 아닌 것과 같다.
순서
공자의 사상과 공자의 문화문제에 대한 태도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형구의 괴로움과,즐거움, 얻음과 잃음, 삶과 죽음까지도 모두 공자가 중시한 문제는 아니었다. 형구아는 공자 사상 중에서 중요한 지위를 가지지 않는다. 또 도를 걱정하지 가난함을 걱정하지 않으며, 덕성을 유일한 관심사로 삼지, 일의 막히고 풀림과 얻고 잃음을 생각하지 않는다 하였다.
인지아에 대하여 공자는 종래 지식의 독립적 의미를 중시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또 지와 성덕의 관계에 상대하여도 지가 성덕을 결정한다고 여기지 않았다. 자아는 마땅히 덕성의 요구에 따라서 형구를 처리해야 한다. ‘인자한 사람은 반드시 용기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으니, 인은 지*용을 결정할 수 있으나, 지와 용은 인을 결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인관념이 공자학설 중에서 지나 용보다 지위가 높음을 알 수 있다아
자아 경계는 형구아(형구아, 생리 및 심리 욕구를 내용으로 함), 인지아(인지아, 지각이해 및 추리활동을 내용으로 함), 정의(定義)아(정의(定義)아, 생명력 및 생명혹을 내용으로 함), 덕성아(자치자각을 내용으로 함)로 나눌 수 있다아 공자가 제시한 인, 의관념은 덕성아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