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보완 · 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중도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efficacy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9-05 00:59
본문
Download : 비디오자기모델링을활용한보완.hwp
비디오를 통한 자기 모델링을 위해 아동의 의사소통 …(To be continued )
다.Ⅰ. 서 론, , Ⅱ. 연 구 방 법, 1. 실험대상, 실험기간 및 실험장소, 2. 실험도구 및 중재활동의 선정, 3. 실험 설계 및 절차, 2. 관찰자간 신뢰도, , Ⅲ. 연구 결과, 1.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AAC중재가 대상아동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2.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AAC중재를 통해 습득된 의사소통 행동의 일반화와 유지 효과, , Ⅴ. 결론 및 논의, 1.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AAC중재가 중도정신지체 아동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2.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AAC중재가 대상아동의 의사소통행동 일반화 및 유지에 미치는 효과, , FileSize : 224K ,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보완 · 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중도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사범교육레포트 , 비디오자기모델링 정신지체아동의사소통 중도정신지체 AAC중재
설명
순서
비디오자기모델링,정신지체아동의사소통,중도정신지체,AAC중재,사범교육,레포트
레포트/사범교육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보완 · 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중도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efficacy






Download : 비디오자기모델링을활용한보완.hwp( 97 )
Ⅰ. 서 론, , Ⅱ. 연 구 방 법, 1. 實驗(실험)대상, 實驗(실험)기간 및 實驗(실험)장소, 2. 實驗(실험)도구 및 중재활동의 선정, 3. 實驗(실험) 설계 및 절차, 2. 觀察(관찰) 자간 신뢰도, , Ⅲ. 연구 결과, 1.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AAC중재가 대상아동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efficacy, 2.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AAC중재를 통해 습득된 의사소통 행동의 일반화와 유지 efficacy, , Ⅴ. conclusion 및 논의, 1.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AAC중재가 중도정신지체 아동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치는 efficacy, 2.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AAC중재가 대상아동의 의사소통행동 일반화 및 유지에 미치는 efficacy, , 자료(資料)크기 : 224K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들을 토대로 중도 정신지체아동에게 AAC 도구체계 중 그림 의사소통판의 사용을 중재하고자 하였으며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평가와 교실상황에서의 일반화가 용이한 미술활동으로 중재내용을 선택하였다. 의사소통판 사용의 효율적인 지도를 위해 개별지도와 자연스런 맥락에서의 교수가 중요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AAC적용에 있어 개별지도 시간이 부족하고, 개별 아동에 대해 AAC를 적용시 수업 및 교육과정 진행 방해와 다른 학생의 수업방해로 인한 형평성 문제(고성아, 1995) 등을 고려하여 아동의 AAC중재시 개별 접근을 하면서 교사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Pigott & Gonzales, 1987), 반복 지도의 효율와 학생의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strategy으로 비디오 모델링을 사용하였다. 비디오 모델링(video modeling)은 비디오테잎을 이용한 중재 중 비디오를 편집하여 바람직한 目標(목표)행동만을 보여주는 방법이며(Greelis & Kazaoka, 1979) 본 연구에서는 자기watch 결과를 통한 행동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자기모델링(Dorwick, 1983)을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