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看護學(간호학)]대동맥박리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2-07 13:08
본문
Download : [간호학]대동맥박리증.hwp
박리는 대개 원위부쪽으로 하행대동맥과 그 주가지로 파급되어 나가며 또한 근위부쪽으로 파급되기도 한다.[간호학]대동맥박리증,의약보건,레포트
Aortic Dissection
(동의어 : dissection hematoma, dissecting aneurysm)
[1] 임상특징, 병리소견
대동맥 박리는 보통 상행대동맥의 오른쪽 외측벽을 따라서 내막(Intima)가 원주상 또는 가로로 찢어지면서 일어난다.
주기적으로 박동하는 대동맥혈류는 대동맥의 층판을 양분하며 갈라놓으며 가성공간(false lumen)을 형성한다.
(2) 내막 열격(intimal tear)는 대동맥판(aortic valve)에서 수 cm이내의 상행대동맥에서 잘 발생되고 left subclavian artery가 기시하는 부위의 바로 아래에 있는 하행대동맥, 즉 ligament, arteriosum 바로 아래에서도 흔하다. 처음에 原因이 되어 일어나는 change(변화)는 Intima를 분열시키며 분리시키는 내측출혈이다.
(1) 대동맥벽의 내측부위가 퇴행성 change(변화) (cystic medial necrosis, degeneration)되고, 내막열격(intimal tear)가 생겨, 이를 통해 혈액이 대동맥벽 속으로 들어가, 대동맥 및 그 분지의 중막(media)에 연속성 박리(dissection)을 일으켜 false lumen을 형성한다.
[…(To be continued )[看護學(간호학)]대동맥박리증
Download : [간호학]대동맥박리증.hwp( 45 )
설명
[看護學(간호학)]대동맥박리증
![[간호학]대동맥박리증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EB%8C%80%EB%8F%99%EB%A7%A5%EB%B0%95%EB%A6%AC%EC%A6%9D_hwp_01.gif)
![[간호학]대동맥박리증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EB%8C%80%EB%8F%99%EB%A7%A5%EB%B0%95%EB%A6%AC%EC%A6%9D_hwp_02.gif)
![[간호학]대동맥박리증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EB%8C%80%EB%8F%99%EB%A7%A5%EB%B0%95%EB%A6%AC%EC%A6%9D_hwp_03.gif)
![[간호학]대동맥박리증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EB%8C%80%EB%8F%99%EB%A7%A5%EB%B0%95%EB%A6%AC%EC%A6%9D_hwp_04.gif)
![[간호학]대동맥박리증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EB%8C%80%EB%8F%99%EB%A7%A5%EB%B0%95%EB%A6%AC%EC%A6%9D_hwp_05.gif)
![[간호학]대동맥박리증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EB%8C%80%EB%8F%99%EB%A7%A5%EB%B0%95%EB%A6%AC%EC%A6%9D_hwp_06.gif)
[간호학]대동맥박리증 , [간호학]대동맥박리증의약보건레포트 , [간호학]대동맥박리증
레포트/의약보건
순서
다. 또 다른 호발부위는 동맥관인대 바로 밑에 위치한 하행 흉부대동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