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 [공학] 계측 및 신호처리 - 유량 측정.hwp
실험과제/기타
Download : [공학] 계측 및 신호처리 - 유량 측정.hwp( 60 )
[공학] 계측 및 신호처리 - 유량 측정
[공학] 계측 및 신호처리 - 유량 측정
[공학] 계측 및 신호처리 - 유량 측정 , [공학] 계측 및 신호처리 - 유량 측정기타실험과제 , 공학 계측 신호처리 유량 측정
순서
설명
공학,계측,신호처리,유량,측정,기타,실험과제
1 ) test(실험)
목적
- 유체가 흐르는 임의의 단면에서, 유체의 체적 또는 질량의 시간에 대한 유동 비율을 유량이라고 한다. …(drop)
3 ) 理論(이론)
(1) 교축유량계
① 오리피스 (orifice)
② 유동노즐 (flow nozzle)
다.
2 ) test(실험)
장치
- 유량측정(測定)
을 위한 test(실험)
장치는 그림과 같이 공기의 유량을 측정(測定)
할 수 있는 부자식 유량계, 공기가 통과하는 아크릴 원관, 피토튜브, 오리피스, 압력 탭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자식 유량계에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본 test(실험)
에 사용되는 부자식 유량계는 0에서 500 l/min까지의 유량을 측정(測定)
할 수 있다
피토튜브로부터 측정(測定)
되는 압력차에 의한 속도 환산과 오리피스 전후에 위치한 압력 탭으로부터의 압력차는 디지털 풍속/차압계(Furness Control, FCO 520)로 측정(測定)
한다. FCO520의 측정(測定)
범위는 차압의 경우 -6 ~ 6 kPa, 속도는 100 m/s이하이다. 유량은 직접 측정(測定)
하는 방식과 국부유속을 측정(測定)
하고 유로단면에 대하여 유속을 적분하여 유량을 구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test(실험)
에서는 유량을 직접 측정(測定)
하는 방식 중에서 부자식(float type) 유량계와 오리피스(orifice) 유량계 그리고 유속을 측정(測定)
하는 방식 중 피토 튜브(pitot tube)의 동작원리와 사용 방법을 이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