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농업의 내역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3-31 13:10
본문
Download : 북한 농업의 현황.hwp
농촌의 생산기반조성에서 중요한 계기가 되는 것은 1976년 `자연개조 5대 방침`과 1981년 `4대 자연개조사업`, 그리고 1989년 2천리물길사업으로 이를 통해 농업생산기반 조성과 수리시설관리 규정의(定義) 제정(1992) 등 농업생산 증대 정책을 수행했다.
북한농업6
Download : 북한 농업의 현황.hwp( 99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북한 농업의 내역에 대하여 설명(說明)한 자료(data)
북한 농업의 내역
설명
북한 농업의 현황에 대하여 설명한 자료 북한농업6 , 북한 농업의 현황인문사회레포트 ,
다. 1964년 2월 당중앙위원회 제4기 8차 전원회의에서 `사회주의 농촌문제에 관한 테제`를 발표하고 농업의 기술혁명을 위한 농업 전기화, 수리화, 기계화, 화학화를 전국적으로 추진했다. 또한 북한의 수리시설은 저수지 1,890개소, 양수장 36,400개소, 지하수개발 142,000개소를 갖추고 있따 북한의 농업기술개발은 농업과학원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주식량 작물인 벼·옥수수의 다수성 품종개발과 재배기술, 인력중심의 자재절감기술 개발에 치중하고 있따
북한의 농업정책은 해방직후 토지개혁과 농업협동화를 스타트으로 1960년 전문적인 농업관리지도체계를 구축하게 되었다.
1998년 북한이 UNDP에 제공한 자료(資料)에 따르면 북한의 총면적 1,230㏊ 가운데 경지면적은 15.6%인 192만㏊이며, 품목별 경지면적은 벼 58만5천㏊, 옥수수 59만9천㏊, 기타 66만9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