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의 절차적 제한 규정이 효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19 01:20
본문
Download : 해고의 절차적 제한 규정의 효력.hwp
해고의 절차적 제한 규정이 효력
해고의 절차적 제한 규정의 효력 , 해고의 절차적 제한 규정의 효력법학행정레포트 , 해고의 절차적 제한 규정의 효력
Download : 해고의 절차적 제한 규정의 효력.hwp( 63 )
해고의 절차적 제한 규definition 효력에 대한 연구 (노동법)
1. 들어가며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에서 해고를 할 때에는 해당 근로자에게 사전통지를 하여 변명의 기회를 제공한다든지, 노동조합 또는 본인과 협의나 동의를 하여야 한다는 등 해고의 절차에 대한 규정을 두는 예가 많다. 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에서 말하는 정당한 이유에는 실체적 정당성뿐만 아니라 절차적 정당성도 포함되므로, 이러한 조항을 위반한 해고는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에 반하여 무효가 될 뿐 아니라(근로기준법 제100조,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33조 참조), 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 위반으로 무효가 된다된다.레포트/법학행정
해고의,절차적,제한,규정의,효력,법학행정,레포트
설명






순서
해고의 절차적 제한 규정이 효력
다. 김유성, ?노동법Ⅰ?, 301면
법원은 절차적 제한 규정에 위반한 채 이루어진 해고는 절차상의 하자가 치유되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무효라고 보고 있다아 즉 해고와 관련하여 절차를 규정한 것은 해고권의 공정한 행사를 확보하고 징계제도…(省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