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관계론에 대한 신제도주의의 공헌과 한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5 19:50
본문
Download : 고용관계론에 대한 신제도주의의 공.hwp
하나는 근로계약서로 표현되는 개별적인 노동계약이며, 다른 하나는 노조를 통한 집단적인 임금 및 단체협약이다. 특히 후자의 경우 전통적인 집단적 노사관계론을 노동관계(labor relations), 개별적, 집단적 노사관계를 포괄하는 definition 을 고용관계(industrial relations)로 구분하여 사용하면서, 개별적 노사관계를 사용자에 의한 인적자원관리(HRM; Human Resource Management)와 동일시(Bemmels & Zaidi)하거나 아예 고용관계 자체를 산업사회내 노동문제의 관리(management)로 definition 한다(Boivin).
2. 알치안과 뎀세츠
코즈와사이몬 알치안과뎀세츠 윌리암슨 신제도주의 / (신제도주의)





설명
코즈와사이몬 알치안과뎀세츠 윌리암슨 신제도주의
코즈와사이몬 알치안과뎀세츠 윌리암슨 신제도주의 / (신제도주의)
Ⅰ. 머리말
다. Ⅲ. 신제도주의의 공헌 및 한계, 그리고 산업민주주의에 대한 함의
순서
1. 코즈와 사이몬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고용관계론에 대한 신제도주의의 공.hwp( 37 )
Ⅱ. 고용관계에 대한 신제도주의의 인식과 問題點
3. 윌리암슨
고용관계론에 대한 신제도주의의 공헌과 한계
자본주의 경제에서 노동은 자본과 두가지 경로를 통하여 계약을 맺는다. 이 가운데 선진국에서 나타나고 있는 노조 조직률의 하락 경향을 감안하면 개별적 노사관계는 그 중요성이 날로 높아져 왔다고 볼 수 있다 이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던롭(1958)의 시스템 접근법(system approach)의 계승자들은 Kochan, Katz & McKersie(1986)와 같이 사용자의 책략적 선택을 강조하는가하면, Boivin(1989)이나 Bemmels & Zaidi(1989)와 같이 개별적, 집단적 노사관계를 포괄하는 理論을 주창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