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사소송법상 상소의 이익 판단기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5 04:03
본문
Download : 형사소송법상 상소의 이익 판단기준.hwp
3) 객관설 : 법익박탈의 대소를 기준으로 판단
(3) 검토
주관설은 언제나 상소의 이익이 인정된다는 점에서 부당하고, 사회통념설은 파렴치범과 비파렴치범의 구별이 명확치 않다는데 문제가 있다아 객관설이 타당하다.
객관설에 의할 때 형의 경중을 정한 형법 제50조와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을 규정한 제368조 및 제396조 제2항이 중요한 판단기준이 된다된다.
2. 검사의 상소의 이익
(1) 의의
검사도 상소권자이므로 검사가 상소하는 경우에도 상소의 이익이 필요하다. 다만, 무엇이 이익인 상소인가에 대한 기준에 관하여 견해가 대립한다.레포트/법학행정
형사소송법상,상소,이익,판단기준,법학행정,레포트
형사소송법상 상소의 이익 판단기준
1. 피고인의 상소의 이익
(1) 문제가되는점
피고인은 원심재판이 자신에게 불리한 경우에만 상소를 제기할 수 있고, 유리한 재판을 불리한 내용으로 변경하는 상소제기는 허용되지 아니한다.
(2) 피고인에게 불이익한 상소
1) 문제가되는점
검사의 상소의 이익의…(투비컨티뉴드 )
형사소송법상 상소의 이익 판단기준
형사소송법상 상소의 이익 판단기준


설명
순서
형사소송법상 상소의 이익 판단기준 , 형사소송법상 상소의 이익 판단기준법학행정레포트 , 형사소송법상 상소 이익 판단기준
Download : 형사소송법상 상소의 이익 판단기준.hwp( 22 )
다.
(2) 견해의 대립
1) 주관설 : 피고인의 주관적 측면을 기준으로 판단
2) 사회통념설 : 사회통념을 기준으로 판단. 경한 법정형의 파렴치범죄에 대해 중한 법정형의 비파렴치범죄를 주장한 상소를 허용하자는 견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