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2학기 중세국어연습 기말시험 point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4 03:54
본문
Download : 20112기말_국문3_중세국어연습.pdf
(2) 그 문자에 대한 해설서로서의 의미
- 설음: ‘ㄴ’은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모양을 본뜸
- 후음: ‘ㅇ’은 목구멍의 모양을 본뜸
제1장 문자와 문헌
- 아음: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뜸
1.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중에서 입의 모양을 본뜬 초성 기본자는?
설명
- 치음: ‘ㅅ’은 이의 모양을 본뜸
발음 기관의 구체적인 모양을 본떠서 만들고 모음의 기본 글자는 天(하늘)·地(땅)·人(사람)의 모양을 추상적으로 본떠서 만들었음. 자음 17자와 모음 11자가 『훈민정음』 서문에서 말한 ‘新制二十八字(새로 만든 28자)’임
- 출제예상문제(해설포함)
제1장 훔민정음과 중세 한글문헌 제2장 형태소와 단어의 형성 및 구조 제3장 체언과 조사의 유형 및 특징 제4장 중세국어의 용언과 어미 제5장 중세국어의 문법과 문장 - 출제예상문제(해설포함)





제4장 중세국어의 용언과 어미
[정답] 3
다. 제2장 형태소와 단어의 형성 및 구조
① ㄱ ② ㄴ ③ ㅁ ④ o
제3장 체언과 조사의 유형 및 특징
●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제5장 중세국어의 문법과 문장
[해설] 기본 초성자
순서
● 훈민정음의 의미
중세국어연습,중세국어연습핵심,중세국어연습기출,중세국어연습기말,중세국어연습족보
● 자음의 기본 글자
Download : 20112기말_국문3_중세국어연습.pdf( 63 )
제1장 훔민정음과 중세 한글문헌
방송통신 > 기말시험
- 중략 -
1. 훈민정음
<출제예상문제>
상형(象形)이라고 할 수 있는데, 자음의 기본 다섯 글자(ㄱ, ㄴ, ㅁ, ㅅ, ㅇ)와 모음의 기본 세 글자(, ㅡ, ㅣ)는 모두 이 상형의 원리에 의해 만들어진 것
- 순음: ‘ㅁ’은 입의 모양을 본뜸
- 중략 -
2011년 2학기 중세국어연습 기말시험 point체크
(1) 오늘날의 ‘한글’에 해당하는 문자의 이름으로서의 의미
<출제예상문제>
● 훈민정음은 처음에 한문본으로 간행(한문본, 혜례본, 원본)되었고 일부가 우리말로 번역(예의본, 국역본, 언해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