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좌진과 이범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7 00:46
본문
Download : H.hwp
이처럼 사정이 악화된 데에는 여러가지 원인(原因)이 있겠지만 그 가운데서 안창호-이동휘로 대표되는 strategy-전술 理論(이론)의 대립과 갈등이 커다란 몫을 차지한다고 생각된다 한말의 신민회를 만들 때 부터 나타나기 처음 한 두사람의 전술 대립은 끝내 조정되지 못한채로 끝나고 말았다.





일제의 식민지 통치 아래서 우리의 지도자들이 생각한 민족 해방의 strategy-전술론은 대체로 두가지로 나뉘어진다. 그의 무력 투쟁理論(이론)은 만주의 동쪽 끝에 위치한 북간도 지방에서 젊은 사자들의 손으로 과감히 실천 되었다. 하나는 교육과 산업을 발전시켜 점차로 민족의 역량을 쌓아가자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만주 같은 곳에 흩어져 사는 교민들을 무장시켜 당장에 일제에 맞서 독립 투쟁을 하는 것이었다. 임시정부의 파벌에 싫증이 난 안창호는 미국으로 떠나버렸고 이동휘는 무력 투쟁理論(이론)을 열렬히 부르짖으면서도 실제로는 임시정부의 파벌 싸움에만 열중했다. 그러나 결과를 보면 임시정부는 1920년대에 이렇다할 실적을 남기지 못한채로 공전만 거듭하고 말았다. 1919년에 삼일 운동이 일어나고 나서 그 해 5월에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만들어져 안창호나 이동휘가 ㅈㅇ요 부서를 맡았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설명
김좌진 이범석 독립군
레포트 > 기타
김좌진과 이범석
Download : H.hwp( 46 )
순서
김좌진 이범석 독립군 / ()
김좌진 이범석 독립군 / ()
다. 앞것은 말하자면 점진적인 실력 배양의 理論(이론)이요, 뒷것은 직접적인 무장 투쟁의 理論(이론)이 되는 셈인데 안창호가 앞理論(이론)의 대표자라면 이동휘 장군은 뒷 理論(이론)을 대표하는 사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