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치료학] 척추의 안정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10:15
본문
Download : [운동치료학] 척추의 안정화.hwp
척추중심안정화근은 다른 말로 심부안정화근 이라 하는데 말 그대로 인체의 중심을 잡아주는 근육들은 천층 (표층)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깊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심부안정화 근이라 한다.
- 방법
설명
● 척추안정화 근육과 그 역할
- 주의점
체간부위가 안정화 구조화 되지 않으면 원위 지절의 움직임에 안정성이 떨어져 완벽한 움직임을 일으킬 수 없다.
![[운동치료학] 척추의 안정화-6220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A%B4%EB%8F%99%EC%B9%98%EB%A3%8C%ED%95%99%5D%20%EC%B2%99%EC%B6%94%EC%9D%98%20%EC%95%88%EC%A0%95%ED%99%94-6220_01.jpg)
![[운동치료학] 척추의 안정화-6220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A%B4%EB%8F%99%EC%B9%98%EB%A3%8C%ED%95%99%5D%20%EC%B2%99%EC%B6%94%EC%9D%98%20%EC%95%88%EC%A0%95%ED%99%94-6220_02_.jpg)
![[운동치료학] 척추의 안정화-6220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A%B4%EB%8F%99%EC%B9%98%EB%A3%8C%ED%95%99%5D%20%EC%B2%99%EC%B6%94%EC%9D%98%20%EC%95%88%EC%A0%95%ED%99%94-6220_03_.jpg)


이런 다열근, 횡복근, 회전근, 내복사근은 추체에 작게 붙어있으면서 요추, 추간판, 인대(특히 후방의 후종인대를 뒷받침)를 안정화 시킨다. 이런 척추심부안정화근은 다른 구조물과 같이 신경계(뇌)의 지배를 받는다.
척추는 몸의 중심으로서 이 부분이 안정화 되면 신체의 정렬을 바로잡아 모든 동작을 안정되게 하고, 몸의 유연성과 균형을 바로 잡아 신체의 불균형에 의한 요통 등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그래서 큰 운동을 하기 전에 추체에 움직임이 일어나려 하면 안정화 근들이 척추의 고정력을 증가시켜 준다.[운동치료학] 척추의 안정화
척추 안정화근육은 관절의 가장 안쪽에 위치해 있는 단관절 근육으로 구성된다 척추의 안쪽을 따라 붙어있는 다열근(Multifidus)과 몸통의 가장 안쪽을 감싸고 있는 횡복근(Transversus abdominis)이 척추를 안정시키는 근육이다.
Download : [운동치료학] 척추의 안정화.hwp( 59 )
레포트 > 의학계열
● 척추란?
척추안정화근
순서
- 원칙
운동치료학,척추의 안정화
● 척추안정화 운동 - 목표(目標)
● 척추란? ● 척추안정화 근육과 그 역할 ● 척추안정화 운동 - 목표 - 원칙 - 방법 - 주의점
다. 척추 깊숙이 척추를 잡아주며 척추가 이리저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