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보자기의 종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10:04
본문
Download : 전통 보자기의 종류.hwp
즉 비단은 비단 보자기에, 무명이나 모시는 무명이나 모시 보자기에 싸두었다.
옷감보: 옷감의 종류에 따라 싸 두는 옷감과 같은 천으로 만들었다.
보부상보: 보부상이란 보상(보따리 장수, 여자 행상)과 부상(등짐장수, 남자 행상)을 말하는데, 이들이 팔 물건을 싸서 갖고 다닐 때 쓴 보자기다.
up전통보자기의종류
Download : 전통 보자기의 종류.hwp( 84 )
순서
레포트/기타
설명
,기타,레포트
다. 가. 상용보
전대보 : 공사용의 문서와 물건을 전할 때 사용하던, 길고 양쪽 끝이 터진 자루 모양의 보자기를 말한다.up전통보자기의종류 , 전통 보자기의 종류기타레포트 ,






전통 보자기의 종류
전통 보자기의 종류에 마주향하여 쓴 리포트입니다.
이불보 : 일명 자리보라고도 하는데, 때가 덜 타고 눈에 잘 띄지 않게 하기 위해 아청색…(생략(省略))
전통 보자기의 종류에 대해서 쓴 리포트입니다. 밥상보에는 식지를 쓴 경우가 많다. 옷감보의 규격은 대체로 3~4폭이며 조각 천을 이용해서 만든 조각보가 많다.
후리보: 여행할 때 어께나 허리에 걸치는 보자기로, 잡물을 싸서 휴대하는데 썼다.
밥상보: 여름용은 통풍이 잘 되도록 사지나 모시로 만들어 꼭지를 붙여 밥상에 덮어 파리나 먼지 등을 막았다. 그리고 보자기의 네 귀에 끈을 매달아 밥상을 옮길 때 편리하게 만든 것도 있다 밥상보에는 한쌍의 주발보가 딸려 있기도 한테, 이것은 부부용이며 청홍색으로 부부를 구별했다. 겨울용은 두터운 천으로 겹보를 만들거나 솜을 두어 보온에 유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