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기술의 관념과 정신지체의 사회기술特性(특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8 10:55
본문
Download : 사회기술의 개념과 정신지체의 사회기술특성.hwp
이를 부모의 입장에서 보면 부모는 자기 자녀가 정신지체아라는 심리적 충격과 갈등으로 인하여 자녀를 바르게 이해하기 못하게 되고 바른 교육관을 가지지 못하게 되는 경우를 보게 된다된다.
Goldberg(1982)는 정신지체아의 어머니의 경우 일반아동 어머니에 비해 자녀와의 상호작용 빈도가 낮을 뿐 아니라 그 내용도 부정적…(省略)






순서
,의약보건,레포트
Download : 사회기술의 개념과 정신지체의 사회기술특성.hwp( 63 )
설명
기질적가정학교[1]
다.
최종옥(1982)는 정신박약아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와 계몽교육 대안에 관한 연구에서 어떤 부모는 자기의 정상자녀에 무의식적으로 보다 잘해주는 것 같이 느끼는데 대하여 죄의식을 갖고 있으며 이같은 감정은 때론 어떤 문제를 부인하려고 하고, 정신지체 자녀를 다른 형제 보다 더 귀하게 대하려고 하며 그 아동의 성숙 정도에 맞지 않게 보다 많은 의존심을 갖게 되도록 지나친 보호를 하다고 했다. 그러므로 양육태도는 동정적이며 과보호 경향을 보인다.
김승국(1992)은 정신지체아 부모의 바람직하지 못한 태도는 죄의식, 거부, 과보호, 만성적 슬픔이라고 하였다. 아동이 의존적이 되고 자신의 일을 처리 못하게 되는 것은 어머니의 이러한 양가적 감정 때문이다 문제는 할 수 있는 것도 대행했을 때 그 아동은 의존적인 나약한 아이가 되어 진짜 장애자로 전락하게 되는데(s.c.samnels ed. disturbed Exceptional children pp.143-244) 이러한 것은 자기 자신의 능력을 너무 과소평가하여 그들을 별로 시키지 않는데 기인한다고 본다.
정신지체아동의 부모의 평범한 양육태도 중의 하나가 과잉보호이다.
레포트/의약보건
사회기술의 관념과 정신지체의 사회기술特性(특성)
장애아동의 사회기술특성기질적가정학교[1] , 사회기술의 개념과 정신지체의 사회기술특성의약보건레포트 ,
장애아동의 사회기술特性(특성)
2. 가정環境과 사회기술
1)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장애아동의 부모가 보이는 심리적 갈등과정은 개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자녀들을 양육하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시한 정신적, 육체적 고통으로 인하여 현실을 왜곡하게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
Waisbren(1980)에 의하면 정신지체아동의 부모들은 보다 거부적이고, 징벌적이고, 과잉보호적이고, 화를 잘 내는 양육태도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