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길약어의 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05 21:23
본문
Download : 한국어와 길약어의 관계.hwp
그리고 이들 소수 민족은 아마 원시 우랄족이나 알타이족과 많은 공통성을 가지고 있었 음이 확실하다고 말한바 있따
(2) 지리적 배경
고아시아어의 하나이며 현재 아무르강 하류와 사할린 북쪽 일부에 살고 있는 길약족 (Gilyak)은 그 민족적 기원과 고대사를 알 수 없으나 그 언어를 보면 이 언어가 알타이 어 특히 퉁구스어에 影響을 준 것이 확실하다고 전제하고 있따 (끄레이노비치 krejnovic 1955:135~68)(3) 길약어의 사용 인구(1970년에 인구 조사에 의한 것)
길약족(Gilyak) 4,420명 중에서 그 절반인 49.5%가 1970년에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었다.(1) 역사적 배경2. 길약어의 역사(歷史)적·지리적 배경
(1) 역사(歷史)적 배경
람스테드(Ramstedt 1957: 16)는 만주 동쪽에서 길약족(Gilyak) 혹은 그 선조와 친연 관 계가 있는 종족이 살고 있었으며, 또 다른 고아시아족이 알타이족에 인접해 살고 있는 데 이들은 뒤에 알타이족화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통계는 러시아어에 급 격히 동화되고 있는 것을 보여준…(skip)레포트/인문사회





2. 길약어의 역사적·지리적 배경
한국어와 길약어의 관계
2. 길약어의 역사적·지리적 배경(1) 역사적 배경 람스테드(Ramstedt 1957: 16)는 만주 동쪽에서 길약족(Gil... , 한국어와 길약어의 관계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람스테드(Ramstedt 1957: 16)는 만주 동쪽에서 길약족(Gil...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한국어와 길약어의 관계.hwp( 88 )
설명
다.
1959년의 통계에 의하면 76.3%가 모국어를 사용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