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제자원리에 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24 20:11
본문
Download :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대한 고찰.hwp
훈민정음제자원리에대한고찰 ,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대한 고찰기타레포트 ,
순서
Download :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대한 고찰.hwp( 72 )
Ⅰ. 서론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 언문 28자를 고전(古篆)에 본받아 만들었다는 설과 범자(梵字)에 의해서 만들었다는 설, 세종 조에 사신을 명하여 몽고 글자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는 설 등과 같이 그동안 널리 알려진 한자의 고전설, 몽고 및 싼스트리스트 문자에 근거를 둔 설, 또한 음양오행설, 태극설 등을 들 수 있었는데 1945년에 원본〈훈민정음〉해례본이 안동에서 발견됨에 따라서 자음과 모음의 제자원리는 발음기관의 모양을 따서 만들었다는 상형설 및 天, 地, 人의 삼재설을 그 근본으로 삼게 되었다.Ⅱ. 본론
〈훈민정음〉해례편 『제자해』의 결(訣) 부분에 의하면 ‘천지의 탄생은 본디 하나의 기운으로부터 처음 되며 음양과 오행이 서로 돌고 돌아 만물이 둘[하늘과 땅] 사이에서 형체와 소리를 갖추었나니 근본이 둘이 아니니 모두 이치에 통하느니라. 또한 정…(省略)레포트/기타
다. 따라서 여기서는〈훈민정음〉해례본에 나와있는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 정인지의 꼬리말 중에서 『제자해』즉,〈글자짓기풀이〉의 제자원리를 바탕으로 살펴 보고 그 외의 주목할만한 학설도 간략하게나마 고찰해 보기로 하겠다.훈민정음 제자원리에 대한 고찰






훈민정음제자원리에대한고찰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대해 고찰한 내용입니다.
,기타,레포트
설명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대해 고찰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