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례와 수연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15 02:29
본문
Download : 제례와 수연례.hwp
집사가 제상에서 잔을 들어 제주에게 건네주고 잔에 술을 조금 따른다. 다음, 모사 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는다. 제주는 두 손으로 잔을 들고 향불 위에서 세 번 돌린다.
레포트/기타
,기타,레포트






순서
제례와 수연례
제사의 의미와 종류 제례의 절차 수연례의 정의와 종류 등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신주는 그 자체가 진체임으로 조상으로 여기 참신을 먼저하지만, 지방은 한지에 임시로 이름을 쓴 것에 불과하므로 강신을 먼저 하여 지방에 신을 의뢰하며 조상으로 받든다는 의미가 있다
④진찬(進饌) : 미리 제찬을 진설하지 않고 참신 뒤에 진찬이라 하여 제찬을 올리기도 한다.공수할 때는 평소와 같이 남자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하며,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가게 한다.
③참신(參神) : 고인의 신위에 인사하는 절차로서 남자는 재배, 여자는 사배를 한다.설명
제례와수연례
제사의 의미와 종류 제례의 절차 수연례의 定義(정이)와 종류 등에 대해 조사한 reference(자료)입니다. 향을 피우는 것은 하늘에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이고, 모사에 술을 따르는 것은 땅 아래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진찬 때는 주인이 육(肉), 어(漁), 갱(羹)을 올리고 주부가 면…(To be continued )
다. ※신주인 경우에는 참신을 먼저하고, 지방인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제례와수연례 , 제례와 수연례기타레포트 ,
Download : 제례와 수연례.hwp( 36 )
②강신(降神) :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이다. 빈 잔을 집사에게 다시 건네주고 일어나서 두 번 절한다.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무릎을 꿇고 앉아 향로에 향을 피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