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아동의 복지정책 및 예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05 10:28
본문
Download : 장애아동의 복지정책 및 예방.hwp
2. 장애아동 실태
3. 장애아동의 생활reality(실태) 및 복지욕구
1) 인구사회학적 特性(특성)
① 장애아동의 연령: 학령기 아동 40.5%, 靑少年기 28.2%, 학령전아동기 24.4%
② 재학여부 : 초등학교 35.% 중학교 19.4% 고등학교 14.4%
③ 학교생활에 대한 adaptation(적응) 도 : 잘 adaptation(적응) 한다.
⑩ 발달장애인 - 소아기 자폐증과 비전형적 자폐증에 의해 능력 장애로 일상생활에 도움이 필 요한 사람을 말한다. 20.6%
④ 학교생활 중 어려움 : 수업내용이해도 22.6% 친구들 이해부족이나 놀림 12.1%
⑤ 장애아가구소득 : 월 생활비의 규모가 가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장애아동의 복지정책 및 예방 , 장애아동의 복지정책 및 예방인문사회레포트 , 장애아동 복지정책 예방
장애아동,복지정책,예방,인문사회,레포트
장애아동의 복지정책 및 예방
다.
④ 청각장애인 - 쉽게 말하면 귀가 잘 들리지 않는 사람을 말한다.
⑤ 언어장애인 - 음성기능 꼬는 언어기능에 영속적인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을 말한다.
⑦ 신장장애인 - 신장기능의 부진으로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을 지속적으로 하는 사람을 말 한다.
③ 시각장애인 - 한쪽 눈을 잃은 사람이나, 시력이 너무 낮아 생활이 힘든 사람을 말한다. 불이익 은 개인이 속한 사회의 기대나 규범을 따르는 데에 실패하거나 따를 능력이 없는데서 발생한다.
둘째, 능력장애는 기능장애의 직접적 결과로서 일상적으로 기대되는 활동수행 및 행동의 과다 또는 결핍이 특징이다.
⑨ 정신장애인 - 정신분열, 우울장애등 기능 및 능력 장애로 사회생활에 제한을 받아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말한다.
셋째, 사회적 불리는 기능장애나 능력 장애가 사회화된 것으로서, 개인의 손상이나 기능제약으 로 인해 사회생활에 대한 참여에서 제한을 받거나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말한다.
② 뇌병장애인 - 뇌성마비, 뇌수술등을 받아 일상생활에 제한을 받는 사람들을 말한다.79.4% adaptation(적응)
하지 못한다.
2) 장애인의 定義(정의)
장애인은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생략(省略))① 지체장애인 - 관절에 이상이 있는 사람과, 척추나 뼈에 이상이 있는 사람, 또는 팔이나 다 리가 절단된 사람을 말한다.
이 槪念에 따르면 장애는 세 가지 차원의 기능장애와 능력장애 그리고 사회적 불리의 槪念으로 定義(정의)된다
첫째, 기능장애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손실이나 비정상이 특징이며, 사지, 기관, 피부 또는 정신적 지능체계를 포함한 신체의 다른 구조의 비정상, 선손 또는 손실의 발생이나 존재 를 포함한다.
⑪ 호흡기장애인 - 폐나 천식으로 호흡이 불편한사람을 말한다.
⑧ 정신지체인 - 정신발육이 지체되어 지적능력이 불충분하며, 불완전하고 자신의 일을 처리 하지 못하는 사람을 말한다.
설명
장애아동의 복지정책 및 예방
Download : 장애아동의 복지정책 및 예방.hwp( 97 )
장애아동의 복지정책 및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