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물치지의 개념(槪念)과 의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28 02:57
본문
Download : 격물치지의 개념과 의미.hwp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이 글에서 보듯이 궁리의 영역은 보고 듣고 말하고 행동하는 개인적인 영역에서부터 다른 사람과 관계하거나 일을 처리하는 데 이르기까지 폭넓게 망라... , 격물치지의 개념과 의미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격물치지의 개념과 의미.hwp( 90 )
격물치지의 개념(槪念)과 의미
이 글에서 보듯이 궁리의 영역은 보고 듣고 말하고 행동하는 개인적인 영역에서부터 다른 사람과 관계하거나 일을 처리하는 데 이르기까지 폭넓게 망라...
이 글에서 보듯이 궁리의 영역은 보고 듣고 말하고 행동하는 개인적인 영역에서부터 다른 사람과 관계하거나 일을 처리하는 데 이르기까지 폭넓게 망라되어 있다 그럼에도 그 리는 개인적인 것이든 사람들 사이의 것이든 도덕적이고 실천적인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다르지 않다. .
주자학에서 말하는 리가 도덕적이고 실천적인 성격을 갖는다는 것은 그 리가 자연의 객관적인 리가 아니라는 것을 뜻하며, 나아가 그 리에 대한 탐구가 자연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과는 일정한 거리가 있다는 것을 함축한다. 이러한 사실은 이이도 인용하고 있는 정이의 언급에서도 확인되는데, 그가 리를 인식하기 위해 공부해야 할 대상으로 거론한 것은 책, 인물, 그리고 실천 속에서 만나는 대상이었지 인간과 무관하게 존재하는 객관 사물 그 자체가 아니었다. 그리고 그러한 공부를 통해 인식해야 하는 리 역시 몰가치적인 자연 법칙이 아니라 의리, 시비, 마땅함과 같은 유가적 가치였다. 뿐만 아니라 초목금수와 같은 자연 존재의 리도 역시 ‘마땅한 바’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예외가 아닐것이다. 주자학의 리는 자연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을 통해 파악되는 자연의 리가 아니라…(drop)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