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의定義(정이)및일반지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20 01:29
본문
Download : 격리의정의및일반지침.hwp
⑥ VRE 격리는 적어도 3회(1주일 간격으로)의 배양검사가 음성으로 나올때까지 지속한다. 환자의 호흡기계 분비 물을 닦은 휴지 등은…(drop)
⑥ 사용한 기구 및 environment(환경) 관리
⑦ 미생물 배양검사를 일주일 간격으로 시행해서 두 번 이상 음성이 나오면 격리를 해제한다.격리의정의및일반지침-1 , 격리의정의및일반지침의약보건레포트 ,
격리의定義(정이)및일반지침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③ 장갑
: 환자의 분비물을 만질때는 반드시 장갑을 낀다.다.
① 손씻기
② 장갑
③ 가운
④ 방
⑤ 일반적인 environment(환경)
에서 생존할 수 있으며 직원의 손에 의해 환자에게서 다른 환자에 게로 옮겨질수 있으므로 기구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④ 마스크,가운
: MRSA호흡기 감염이나 창상감염 등으로 분비물이 다량 분비되는 경우,suction 이나 catheter care,창상처치 등을 할땐 분비물이 튈수 있으므로 착용한다.,의약보건,레포트
순서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2)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감염
_손을 통한 접촉에 의해 전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공기감염의 가능성은 매우 적으나 환자의 가래 등이 튀길 경우 감염원이 될 수도있다
① 손씻기
: 대부분 접촉에 의하여 전파되며 의료인의 손에서 3시간까지 생존이 가능하므로 감염된 환자와 접촉한 후에 소독제를 이용한 철저한 손씻기가 요구된다② 방
: 1인실이 가능 할 경우에는 접촉격리르 실시하고 다인실 병실 사용시에는 되도 록 MRSA출현 환자끼리 모아 격리한다.⑤ 객담관리
: 환자의 호흡기계 분비물이 environment(환경) 에 튀지 않도록 주의한다. 그리고 호흡기를 통한 감염은 흔치 않으 나 환자의 분비물이 튀어 감염될수 있으므로 침상위에 MRSA스티커를 붙인다.격리의定義(정이)및일반지침Download : 격리의정의및일반지침.hwp( 33 )
격리의定義(정이)및일반지침-1






격리의정의및일반지침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