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재료test(실험) - 토질 비중시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8 05:57
본문
Download : 건설재료실험 - 토질 비중시험.hwp
따라서 흙의 비중은 그 흙을 조성하는 광물질의 단위중량과 관계되므로, 철분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면 비중의 값은 커진다.
(1) 110±5℃에서 건조시킨 시료를 약 20g정도 준비한다.
5. 주의사항
(5) 가열된 시료는 실온이 될 때까지 식힌다.
(4) 흙 속에 있는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비중병을 10분 이상 끓인다.
(6) 비중병에 증류수를 넣어 병목의 눈금과 메니스커스의 바닥이 일치하게 하고 병의 바깥 부분과 병목안쪽의 메니스커스 윗부분의 물기를 깨끗이 제거한다.(Ws)
(7) 전체중량(Wb, 비중병+시료+물)과 내용물의 온도 T를 측정(測定) 한다.(비중병의 약 1/2 정도)
건설재료test(실험) - 토질 비중시험





흙의 비중이란 4℃에서의 증류수의 단위중량에 대한 흙입자의 단위중량과의 비로 정의된다. 따라서 흙의 비중은 그 흙을 조성하는 광물질의 단위중량과 관계되므로, 철분과 같은 성분(成分)을 포함하고 있으면 비중의 값은 커진다.
순서
(3) 시료가 완전히 잠길 정도로 비중병에 증류수를 가한다.
흙의 비중이란 4℃에서의 증류수의 단위중량에 대한 흙입자의 단위중량과의 비로 定義(정이)된다된다. 흙입자의 크기나 흙성분(成分)의 변화에 따른 비중의 변화변위는 좁기 때문에 이것으로 비교적 정확히 흙을 분류하거나 판별하는 데 사용하기는 어렵다. 흙입자의 크기나 흙성분의 변화에 따른 비중의 변화변위는 좁기 때문에 이것으로 비교적 정확히 흙을 분류하거나 판별하는 데 사용하기는 어렵다.
설명
다.
(2) 무게는 항상 뚜껑(stopper)와 함께 잰다.
(1) 비중병에 증류수를 채울 때에는 기포가 남지 않도록 해야 한다.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2) 실온상태로 식힌 시료를 말린 비중병에 넣어 중량을 측정(測定) 한다. 또한 흙입자의 비중은 흙의 기본성질인 간극과 포화도를 아는데 필요할 뿐만 아니라 흙의 다짐의 정도와 유기질흙에 있어서 유기물함량을 구하는데 이용되며 이 때문에 흙입자의 비중시험을 한다.
건설재료실험,토질 비중시험
Download : 건설재료실험 - 토질 비중시험.hwp( 97 )
또한 흙입자의 비중은 흙의 기본성질인 간극과 포화도를 아는데 필요할 뿐만 아니라 흙의 다짐의 정도와 유기질흙에 있어서 유기물함량을 구하는데 이용되며 이 때문에 흙입자의 비중시험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