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ay.co.kr [글로벌 청년 CEO를 키우자]<하>글로벌 foundation(창업) 지원, 政府가 나섰다 > uplay5 | uplay.co.kr report

[글로벌 청년 CEO를 키우자]<하>글로벌 foundation(창업) 지원, 政府가 나섰다 > uplay5

본문 바로가기

uplay5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글로벌 청년 CEO를 키우자]<하>글로벌 foundation(창업) 지원, 政府가 나섰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4 00:06

본문




Download : 111227102255_.jpg




한 대표는 “창업 초기 기업과 어느 정도 기반을 갖춘 기업의 니즈가 서로 다른데 앞으로는 기업 상황에 맞춰 비슷한 업체들끼리 함께 갈 수 있으면 더 좋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글로벌 청년 CEO를 키우자]<하>글로벌 창업 지원, 정부가 나섰다
[글로벌 청년 CEO를 키우자]<하>글로벌 foundation(창업) 지원, 政府가 나섰다

Download : 111227102255_.jpg( 83 )


 참가자들은 글로벌 창업환경을 경험한 것 만으로도 큰 도움이 됐다고 입을 모은다.
“앞으로의 시대는 글로벌 시대이므로 태어날 때부터 글로벌로 무엇을 하겠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 지원예산을 늘리고, 지원대상과 진출지역도 확대한다.

 한다윗 바닐라브리즈 대표는 “현지에서 활동하는 수많은 스타트업들을 만나 교류할 수 있는 것이 가장 좋았다”면서 “정규 프로그램(program]) 외에도 많은 오프라인 이벤트를 통해 현지 트렌드나 기술 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長點)이었다”고 말했다. 인터넷과 앱스토어를 통해 세계가 하나로 연결되는 세상에서 좁은 국내에 머물면 한계가 있기 때문일것이다 이금룡 회장뿐 아니라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글로벌 창업으로 꿈을 크게 가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글로벌 청년 CEO를 키우자]<하>글로벌 창업 지원, 정부가 나섰다
설명


순서


[글로벌 청년 CEO를 키우자]<하>글로벌 foundation(창업) 지원, 政府가 나섰다

 시대 변화에 맞춰 정부도 글로벌 창업 지원책을 만들어 청년 창업자를 돕는다.

레포트 > 기타
 

 올해 사업에서는 20개 스타트업팀을 선발하고, 국내 사전교육과 실리콘밸리 창업연수프로그램(program]) 참여기회를 제공했다. 이 사업은 올해 시범 추진한 ‘실리콘밸리 진출 지원사업’을 확대 개편한 것이다. 이들은 실리콘밸리에서 현지 벤처투자가로부터 미국식 창업과 사업계획 발표 등을 교육받았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

 실리콘밸리 진출 지원사업 efficacy가 검증되면서 중기청은 글로벌 창업을 본격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새해에는 글로벌 청년창업 활성화 사업으로 확대 개편한다. 진출 대상지역도 미국 실리콘밸리뿐만 아니라 中國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모바일 혁명으로 스마트폰 보급이 늘고, SNS와 클라우드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창업시장에서 국가간 장벽이 낮아진 것이 사업을 추진하는 배경이다. 중소기업청이 새해 추진하는 ‘글로벌 청년창업 활성화 사업’이 대표적이다. 유 대표는 “참가한 20개팀들 모두 연수가 끝난 후 짧은 시간에 비해 많은 것을 배운 것 같다고 했을 정도로 efficacy적이었다”면서 “새해 1월부터 시작하는 실리콘밸리 창업보육센터 입주과정에서 현지 창업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이금룡 코글로닷컴 회장
 유영석 애드게임 대표는 “3주 동안의 실리콘밸리 단기연수 과정에서 기관을 방문하고, 벤처들과 이야기하면서 현지 사정을 이해할 수 있게 됐다”면서 “theory 으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현지에서 직접 부딪치지 않으면 배울 수 없는 것들을 몸으로 배우고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 20개팀 중 미국에서 성공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 바닐라브리즈, 애드게임 등 5개팀은 새해 1월 말부터 3개월 동안 실리콘밸리 창업보육센터에 입주, 현지 전문가들의 멘토링과 투자자 미팅 등의 창업지원프로그램(program]) 을 직접 서비스 받을 예정이다.

 <표>2012년 청년창업 관련 예산

 올해 사업은 IT와 SNS 분야를 중심으로 지원했다면, 새해에는 첨단 제조업과 文化콘텐츠 분야도 추가한다. 지원예산은 올해 총 7억5000만원 규모였는데, 새해에는 31억원으로 4배 이상 늘어났다.

다.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data(자료) : 중소기업청


 

 글로벌 창업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Total 16,988건 683 페이지

검색

REPORT 11(sv76)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www.uplay.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www.uplay.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