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지원에 의한 교육과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0 05:21
본문
Download : 컴퓨터 지원에 의한 교.hwp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습득된 그 기술 자체를 내보이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전문성을 그 기술에 담아내어 유용하게 창출해내는 데에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독어독문학자 스스로가 나서야만 한다는 것이다.
0. 서론
I. 전자 도서관
전자도서관의 必要性은 우선 독일과 한국, 각 나라의 독어독문학을 비교해보면 어렵지 않게 드러난다. 실제로 이충섭의 요약가 그것에 속한다. 이것은 학자와 학생, 연구와 교육의 측면에서 지역특수성을 고려한 독어독문학(landesspezifische Germanistik)을 구축해야 한다는 당위성에서 나온 것이며, 결국 학문과 교육 그리고 교육 수요자 전체를 우리 文化(culture) 와 현실에 뿌리내린 담론에 참여토록 하는 방향에서 새로운 길을 모색하자는 것이다. 결국 한국 독어독문학의 성과물에 대한 요약는 독어독문학자 스스로 해결해야 할 영역인 셈이다. 그러나 한국은 다르다. 예를 들어 각 도서관에서 카탈로그를 만들 것이고, {Germanistik}과 같은 잡지에서 발표된 논문과 문헌에 대한 정보화 작업을 할 것이다. 논문은 말할 것도 없고, 문헌에 대한 데이터뱅크 전문가 차원의 요약가 독어독문학의 카테고리로 요약되고 있지 못하다. 이충섭의 두 번에 걸친
I.1. 전자도서관의 必要性
다. 독일의 독문학자는 자신의 논문을 쓰고, 발표하는 데에 몰두하면 된다된다.
Download : 컴퓨터 지원에 의한 교.hwp( 36 )
I. 전자 도서관
컴퓨터지원 전자도서관 멀티미디어 / (교육)
컴퓨터지원 전자도서관 멀티미디어 / (교육)
순서
컴퓨터 지원에 의한 교육과 연구
테크놀로지 응용과 관련하여 가장 큰 문제는 우리의 영역이 이 기술분야와는 전혀 다른 것이고, 소위 시장성이 없는 영역이어서 기술분야에서 우리 영역의 수요내용을 해결해 줄 것 같지 않다는 데에 있다아 사정이 이와 같으니, 이 첨단 기술을 우리의 목적에 맞게 응용해내는 일이 쉽지만은 않지만 그럼에도 우리 스스로 이 기술에 대한 노하우(know-how)를 축적해야 하고 그 정보교환에 있어 체계화를 이루어내야만 한다.
III. 멀티미디어 도이치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II. 전자학술잡지
컴퓨터지원 전자도서관 멀티미디어
IV. conclusion(결론) 본 연구는 그 근본 취지에 있어 전자시대의 기술과 테크놀로지(Technik und Technologie)가 독어독문학을 위해 갖는 가능성을 탐색, 탐구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아 그러나 이 연구가 가지고 있는 궁극적 goal(목표) 는 내적, 외적으로 도전과 위기에 직면해 있는 한국 독어독문학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결정적 보조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아 이것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으로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 도서관 구축, 전자학술잡지 발행, 멀티미디어 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물을 데이터뱅크(databank)화하는 작업은 다른 영역의 전문가가 할 일이다. 더욱이 그 기술 발전의 속도가 빨라 주저함 없이 가능한 한 신속하게 이 분야에 대한 투자와 대처가 필요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