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특집-future(미래)경영] 반도체·디스플레이- 비전을 향해 달려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09 03:01
본문
Download : 080922114149_.jpg
이를 위해 정부는 △未來시장 선점을 위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core원천기술 집중개발 및 민간주도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센터’ 설립 △장비·부품소재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한 디지털노광기·광학필름 등 core분야에 대한 기업간 공동 R&D 추진 △ 기업 간 상생협력을 위한 패널 교차구매, 장비재료 평가지원 사업 확대 △성장 인프라 조성을 위한 LCD·PDP 및 차세대 플렉시블 표준화 작업과 산업체 맞춤형 인력양성 △국제 공동 R&D 추진 등 협력 및 marketing 활동 강화 등에 나섰다.
다. 메모리반도체는 이미 세계시장의 44%를 점유, 1위 자리를 굳건하게 지키고 있는 반면에 비메모리반도체는 시장규모가 메모리반도체의 3배 이상에 달함에도 우리의 점유율은 2.4%에 불과, 성장 가능성이 큰 분야다.
김순기기자 soonkkim@
순서
이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 戰略도 내놓았다. 우선 시스템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유망기술의 戰略적 개발 △선순환적 성장환경 조성 △산업체 수요에 맞는 전문인력 양성 △국제협력 및 해외진출 지원 등을 4대 core戰略으로 설정했다.
[창간특집-future(미래)경영] 반도체·디스플레이- 비전을 향해 달려라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패널·소재와 부품·장비 산업의 동반 일류화로 명실상부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goal(목표) 를 뒀다. 반도체 가운데는 우리가 약세를 보이고 있는 시스템반도체(비메모리)를 택했다.
[창간특집-future(미래)경영] 반도체·디스플레이- 비전을 향해 달려라
[창간특집-미래경영] 반도체·디스플레이- 비전을 향해 달려라
‘2015년 시스템반도체 매출 300억달러, 2017년 디스플레이 수출 1000억달러 달성’
또 未來 성장가능성이 높은 차세대 유망 시스템 분야를 선정해 플랫폼 기반 R&D를 추진, core IP를 확보하고 수입의존도가 큰 반도체를 집중 개발하는가 하면 수평적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팹리스 업체와 시스템업체 및 파운드리 업체와의 상생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는 내용 등을 담은 13대 추진project도 마련했다.
설명
[창간특집-미래경영] 반도체·디스플레이- 비전을 향해 달려라





Download : 080922114149_.jpg( 62 )
레포트 > 기타
2007년 기준으로 시스템반도체 매출은 41억달러, 디스플레이 수출은 353억달러 수준으로 각각 세계시장의 2.4%와 38%를 점유하고 있다 이를 각각 9.5%와 45%로 끌어올리겠다는 goal(목표) 를 제시했다. 세계시장 점유율은 높지만 소재장비 등의 국산화율은 2007년을 기준으로 40%에 불과할 정도로 미흡하기 때문이다 이를 오는 2017년까지 70% 이상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지식경제부가 우리 경제를 이끌 core 엔진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분야에 내건 비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