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공학] 건설장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9 10:22
본문
Download : 건설장비.hwp
1. Grader
교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운반거리와 적정장비와의 관계는 표2와 같다. 토공장비의 작업범위는 기종에 따라서 광범위하게 걸쳐 있으며, 동시에 한 기종에 관련되어도 여러 가지 작업분류가 존재한다.
다.
설명
장비의 주행과 견인력에 견딜 수 있는 흙의 능력은 흙의 전단저항에 비례한다. 이러한 선정조건 중 공통사항을 발췌하면 아래의 세가지로 압축될 수 있다. 더구나, Bull Dozer의 중량, Ripper의 Shank수에 따라 작업성에 차이가 생긴다.
2.굴착기계
3.운송장비
1.토공장비
1. 토공장비
순서
1.Dump Truck
토공장비
2. 운반거리
2. 천공장비
[건축공학] 건설장비
3.Excavation Equipment
1. 개요
그러므로, 토공은 건설공사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작업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토공작업에 사용되는 건설장비를 총칭해서 토공장비라 부르고 있다. 이러한 지지력 qc를 Cone 지수라 하는데 각 장비들의 Trafficability는 표3과 같다.
1.토공장비 2.굴착기계 1.기초공사용 장비 2. 천공장비 3.Excavation Equipment 3.운송장비 1.Dump Truck 2.Bull Dozer 4.기타장비 1. Grader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건설장비, 건설기계
1.기초공사용 장비
Download : 건설장비.hwp( 21 )
2.Bull Dozer





토공이란 흙 및 암을 대상으로한 구조물의 시공을 총칭한 것으로 광의로는 기초상의 제근, 준설 등도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 굴삭, 성토, 운반, 다짐 등 4가지의 기본 작업으로 나누어지고 이것들의 기본작업이 한조가 되어 하나의 토공사가 되는 것이다.
3. 주행성(Trafficability)
4. Rippability (Ripper Performance)
건설장비의 선정에 있어서 각 건설장비가 가지는 속성 을 비교하고 공사 조건에 맞는 경제적인 시공장비를 선정해야 함은 말할 것도 없다. 건설장비의 선정 기본은 작업량당 단가, 즉 시간당 경비를 시간당 작업량으로 나눈 값이 최소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선단각 30°, 저면적 (㎠)의 Cone을 사용하여 얻은 Cone 지지력 qc(kg/㎠)로 Trafficability의 판정을 한다.
4.기타장비
공사를 시공하는 시점에서 작업의 종류, 공사규모 공기 및 현장조건 등에 따라 적당한 건설장비를 선정하는 일이 필요하게 된다. 그 속성 비교의 하나로 운반거리에 의한 비
Rippability는 탄성파 속도에 의해 같은 탄성파 속도에서도 암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암석의 강도, 절리, Crack의 정도 등에도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인 Ripping방법은 그림1와 같이 2가지가 있으며 각각의 Shank형태는 그림2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