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2015-1] 그린의 프리시드-프로시드 모형을 적용한 노인의 안전사고예방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9 03:13
본문
Download : PRECEDE-PROCEDE_모형을_.hwp
3. 3단계 - 행동적, 환경적 진단단계
253 건
보건교육의 주제 : 노인의 안전사고 예방교육
500 건
(165건), 계단 12.2%(129건) 등에서 사고가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원인 품목별로는 토지, 건물 및 설비가 42.8%(790건)로 가장 많아, 가정 내 각종 설비물로 인한 사고가 많은 것으로 分析(분석)됐다.
선정된 대상의 인구 사회적 property(특성) : ○○구 사회복지관의 권유에 의해 교육대상자로 선정된 부산시 OO구사회복지관 관내의 65세 이상 남녀 노인 5명(남:2, 여:3)은 사회복지관 근처에 살고 있으며, 중·하층 정도 생활수준의 노인들이다. 하지만, 안전사고와 관련하여 체계적으로 계획된 예방교육을 받아본 경험은 전혀 없는 상태이다.
합계
64.5 %
4. 4단계 - 교육적, 조직적 진단단계
2006 년
Ⅱ. 본론
2. 2단계 - 역학적 진단단계
보건교육,프리시드모형,프로시드모형,안전사고예방교육,안전사고예방,procede,procede
6. 6단계 - 수행(1시간 분량의 보건교육지도안)
1. 1단계 - 사회적 진단단계
Ⅰ. 서론
20.2 %
2005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65세 이상 노인 안전사고는 총 1,844건으로, 2005년 253건, 2006년 304건, 2007년 500건, 2008년 787건이 접수되어 해마다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설문조사 결과 한국 국민의 mean or average(평균) 보다 약간 낮은 영양 상태와 가계 소득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
- 간호학과 4학년 보건교육 D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1) 객관적인 지표
사고유형별로는 추락, 넘어짐, 미끄러짐이 55.3%(1,019건)로 가장 많았으며, 충돌, 충격 7.5%(139건), 물체에 베이거나 찢어짐 5.4%(99건), 눌림, 끼임 4.0%(73건) 등이 뒤를 이었다. 2005 년
가정 내 안전사고 1,055건을 장소별로 分析(분석)한 결과로는 방, 침실 22.4%(236건), 화장실, 욕실 15.6%
304 건
- Nursing 과 4학년 보건교육 D형 참고data(資料)입니다
Download : PRECEDE-PROCEDE_모형을_.hwp( 70 )





2008 년
대상 : 부산광역시 ○○구 사회복지관 관내의 65세 이상 노인 5명
1,844 건
- 다양한 data(資料)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1단계 - 사회적 진단단계
Ⅲ. 결 론
또한 통계청 사망사고 통계조사에 따르면, 전체 인구 중 사고사망자 수(자살, 타살 제외)는 2005년 21,040건에서 2008년 18,044건으로 매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65세 이상 노인 계층에서의 사고 사망률은 2005년 30%(6,317건)에서 2008년 38.5%(6,945건)로 오히려 매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방통대 2015-1] 그린의 프리시드-프로시드 모형을 적용한 노인의 안전사고예방교육
5. 5단계 - 행정적, 정책적 진단단계
1) 객관적인 지표
증가율
노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장소로는 가정이 57.2%(1,055건)로 가장 많았고, 공중목욕탕, 지하철역 등 공공행정 및 서비스지역 14.7%(271건), 도로 9.8%(181건) 등의 순이었다. 상해정도별로는 당일치료가 26.7%(493건), 1주미만 16.3%(301건), 1주~2주 미만 14.3%(264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2주 이상의 치료를 요하는 事例도 29.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주관적인 해석
8. 8단계 - influence(영향)평가단계
787 건
사고부위별로는 머리, 얼굴 부위 26.4%(487건), 다리, 발 24.0%(442건), 팔, 손 18.1%(334건), 목, 배, 등, 허리 14.7%(271건) 등의 순이었다. 성별로는 여성이 61.6%로 남성보다 훨씬 사고 빈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 연도별 노인 안전사고 동향 > (단위: 건, %)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다.
7. 7단계 - 과정평가단계
2007 년
9. 9단계 - 결과평가단계
Ⅱ. 본론
57.4 %
순서
가정 내 사고 유형으로는 추락, 넘어짐, 미끄러짐 사고가 61.1%(645건)로 가장 많았다. 또 사전 구두질의 결과 넘어짐, 목욕탕에서 미끄러짐, 교통사고 등에 의한 안전사고 경험을 최소 한 번 이상 모두 가지고 있었다. 특히 화장실, 욕실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90.9%가 추락, 넘어짐, 미끄러짐 사고였으며, 여자가 남자에 비해 3.9배 정도 사고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分析(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