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實驗] 탄산염의 analysis(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6 00:53
본문
Download : [일반화학실험] 탄산염의 분석.hwp
다시 말해, 물속에서 이온화가 잘 된다 라는 것입니다. 이들은 대부분의 음이온과 화합하여 물에 잘 녹는 가용성의 염을 만들 수 있습니다.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탄산염의 공통점은 분자내의 양이온이 주기율표상의 1족 (알칼리금속)이거나 2족 (알칼리토금속, 단, 베릴륨과 마그네슘 제외)라는 점입니다.
Na2CO3 + H2O -> NaOH + NaHCO3
- 모든 탄산염이 알칼리성을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고체를 가열하면 분해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하고, 정염은 산화물로, 탄산수소염은 정염이 된다 다만, 알칼리금속의 염에서는 분해하지 않고 융해한다. 즉, 탄산염 중에서 탄산나트륨의 경우를 설명(explanation)한다면, 탄산이 음이온이고 나트륨이 양이온이 되겠죠? 이 양이온인 나트륨은 1족 (알칼리금속) 원소입니다. 정염이나 탄산수소염의 고체 또는 수용액에 산을 가하면 분해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하고, 그 산의 염을 생성한다.순서
탄산염이 염산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해서 탄산염의 종류를 알아낸다. 중성상태의 순수한 물은 극히 일부분만이 수소이온 (엄밀히 말해서 옥소늄이온, H3O+) 과 수산화이온 (OH-) 으로 나누어져 있고, 대부분의 물은 물 분자 그대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탄산염의 분석,탄산염
[일반화학實驗] 탄산염의 analysis(분석)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설명
탄산염이 염산과 reaction 하여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해서 탄산염의 종류를 알아낸다. 즉, 여기서 발생한 탄산은 약산이라는 말입니다. 탄산이온은 탄소원자를 중심으로 하여 산소원자가 구석을 차지하는 평면 정삼각형의 구조를 하고 있다. 반면, 나트륨이온은 물속의 수산화이온과 reaction response하여 수산화 나트륨이 됩니다. 이 탄산나트륨을 물에 녹인다고 생각해보세요. 그러면 탄산이온과 나트륨이온이 생기겠죠? 탄산이온은 물속에 존재하는 수소이온들과 바능ㅇ하여 탄산(H2CO3)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것들은 이온화 상수가 작아서 쉽게 이온화 되지 않고 탄산 분자 상태로 남아있으려 합니다.
Download : [일반화학실험] 탄산염의 분석.hwp( 68 )
![[일반화학실험] 탄산염의 분석-3584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D%83%84%EC%82%B0%EC%97%BC%EC%9D%98%20%EB%B6%84%EC%84%9D-3584_01.gif)
![[일반화학실험] 탄산염의 분석-3584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D%83%84%EC%82%B0%EC%97%BC%EC%9D%98%20%EB%B6%84%EC%84%9D-3584_02_.gif)
![[일반화학실험] 탄산염의 분석-3584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D%83%84%EC%82%B0%EC%97%BC%EC%9D%98%20%EB%B6%84%EC%84%9D-3584_03_.gif)
![[일반화학실험] 탄산염의 분석-3584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D%83%84%EC%82%B0%EC%97%BC%EC%9D%98%20%EB%B6%84%EC%84%9D-3584_04_.gif)
![[일반화학실험] 탄산염의 분석-3584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D%83%84%EC%82%B0%EC%97%BC%EC%9D%98%20%EB%B6%84%EC%84%9D-3584_05_.gif)
다. - 탄산 H2CO3의 수소가 금속으로 치환된 염으로, 이산화탄소 CO2와 금속산화물 또는 수산화물로 구성되는 염. 정염 (正鹽 : 탄산염) M2ICO3, 산성염 (탄산수소염) MIHCO3, 염기성염 M2ICO3 . nMIOH의 3종이 있다
2. 탄산염이 수용액에서 알칼리성이 되는 이유?
- 탄산 H2CO3의 수소가 금속으로 치환된 염으로, 이산화탄소 CO2와 금속산화물 또는 수산화물로 구성되는 염. 정염 (正鹽 : 탄산염) M2ICO3, 산성염 (탄산수소염) MIHCO3, 염기성염 M2ICO3 . nMIOH의 3종이 있다
산의 경우는 수소이온을 조금만 발생시키지만, 강염기의 경우는 수산화이온을 많이 생성하므로 그 용액은 당연히 염기성을 띠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