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학기 현대시론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3 22:59
본문
Download : 20172_핵심요약노트_국문3_현대시론(0).pdf
제1장 시를 읽는다는 것 제2장 시와 언어 제3장 정서, 감각, 사유 제4장 시, 시인, 화자 제5장 리듬 제6장 이미지 제7장 비유와 상징 제8장 아이러니와 역설 제9장 인유와 패러디 제10장 시와 자연 제11장 시와 상상력 제12장 시와 현실 제13장 시와 사랑 제14장 시의 역사 제15장 시 읽기의 방법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해설포함) *
제1부 시의 본질
순서
③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시’는 단순히 오늘날 사용되는 서정시의 관념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문학 전체를 포괄하는 관념으로 사용됨
제1장 시를 읽는다는 것
④ 유협과 공자의 논의는 동양 culture권에서 시를 정신적인 범주로서 넒은 관념으로 정의(定義)함
① 시는 culture예술의 여러 장르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장르 가운데 하나임
제9장 인유와 패러디
제8장 아이러니와 역설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해설포함) *
1) 시의 정의(定義)와 변천과정
⑤ 한국적 전통에서는 ‘시’라는 명칭이 단독으로 쓰이기보다는 ‘시가’리는 명칭이 주로 사용되어 왔음
현대시론,방통대현대시론,방송대현대시론,현대시론요약,현대시론핵심,현대시론시험
Download : 20172_핵심요약노트_국문3_현대시론(0).pdf( 91 )
2017년 2학기 현대시론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① 시, 소설, 희곡, 비평 등의 문학 장르는 모두 언어를 재료로 그 특성(特性)에 따라 구분된 문학의 갈래임
제13장 시와 사랑
2) 시의 언어와 용법
제3장 정서, 감각, 사유
제7장 비유와 상징
제1장 시를 읽는다는 것
② 시는 언어의 사용방식이나 기능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장르라고 할 수 있음
제6장 이미지
제5장 리듬
제14장 시의 역사(歷史)
설명
③ 일상어와 다른 우회적이고 우아한 어휘나 어법을 주로 사용한 18세기 신고전주의 시인들의 시어를 가리켜 ‘시적 조사’라고 지칭함
② 시는 상당기간 동안 그 자체가 곧 문학예술의 전 영역을 대표하는 관념으로 사용됨
제15장 시 읽기의 방법
방송통신 > 핵심요약노트
제10장 시와 자연
제2장 시와 언어
제12장 시와 현실
1. 시란 무엇인가
제11장 시와 상상력





- 중략 -
제4장 시, 시인, 화자
⑦ 시의 본질과 속성에 대한 논의는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음
⑥ 20세기에 이르러 ‘시’가 문자 매체에 의해 널리 수용되는 과정에서 비로소 ‘시’와 ‘가’로 분리되고 오늘날 현대시 형태를 갖추게 됨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