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법]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0-2 채권법 B형>해제의 효과(效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25 18:12
본문
Download : 계약해제의효과완성[2].hwp
반면에 약정해제의 efficacy는 약정해제권을 유보한 계약의 내용에 따라 결정된다된다. 그러나 계약의 이행으로서 권리를 이전 또는 설정하는 물권행위가 있고, 인도-등기 등 그 효력발생요건이
![계약해제의효과완성[2]-6062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10/%EA%B3%84%EC%95%BD%ED%95%B4%EC%A0%9C%EC%9D%98%ED%9A%A8%EA%B3%BC%EC%99%84%EC%84%B1%5B2%5D-6062_01.gif)
![계약해제의효과완성[2]-6062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10/%EA%B3%84%EC%95%BD%ED%95%B4%EC%A0%9C%EC%9D%98%ED%9A%A8%EA%B3%BC%EC%99%84%EC%84%B1%5B2%5D-6062_02_.gif)
![계약해제의효과완성[2]-6062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10/%EA%B3%84%EC%95%BD%ED%95%B4%EC%A0%9C%EC%9D%98%ED%9A%A8%EA%B3%BC%EC%99%84%EC%84%B1%5B2%5D-6062_03_.gif)
![계약해제의효과완성[2]-6062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10/%EA%B3%84%EC%95%BD%ED%95%B4%EC%A0%9C%EC%9D%98%ED%9A%A8%EA%B3%BC%EC%99%84%EC%84%B1%5B2%5D-6062_04_.gif)
![계약해제의효과완성[2]-6062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10/%EA%B3%84%EC%95%BD%ED%95%B4%EC%A0%9C%EC%9D%98%ED%9A%A8%EA%B3%BC%EC%99%84%EC%84%B1%5B2%5D-6062_05_.gif)
Ⅱ. 해제의 efficacy
Ⅰ. 서론
설명
2) 청산관계설
저명교수엄선 700제 민법, (법률저널 2005)
다. III . 해제의 efficacy에 관한 학설
[채권법] 해제의 효과(效果)에 대하여 설명(explanation)하시오.
2 . 계약해제의 efficacy에 관한 학설 및 판례
1) 계약의 소급적 실효
3) 판례
2) 해제권의 특수한 소멸原因
- 법학과 1학년 채권법 B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김종원, 핵심정리민법 (고시연구사 2004) 권순한, 요해민법 II (도서출판 학우 2004) 강양원, 뉴에이스 민법 (네오시스 2004) 임영호, 민법의 정리 (유스티니아누스 2003) 저명교수엄선 700제 민법, (법률저널 2005)
4. 해제의 efficacy와 동시이행
1) 직접efficacy설
3. 손해배상의 청구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資料)] 김종원, 核心(핵심)정리(整理) 민법 (고시연구사 2004)
임영호, 민법의 정리(整理) (유스티니아누스 2003)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원상회복의 의의
1) 해제와 손해배상
1) 의 의
5. 해제권의 소멸
강양원, 뉴에이스 민법 (네오시스 2004)
1 . 서
- 법학과 1학년 채권법 B형 참고자료(資料)입니다
해제, 해제의효과, 계약해제, 채권법, 법학과
1) 계약의 소급적 실효
- 다양한 자료(資料)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Ⅱ. 해제의 efficacy
2) 해제의 소급효의 제한
2. 원상회복의무
권순한, 요해민법 II (도서출판 학우 2004)
1) 일반적 소멸原因
채무불이행에 따른 법정해제의 efficacy는 계약이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던 것과 같은 법률관계의 소급적 소멸, 원상회복의무(제548조) 및 손해배상청구권(제551조)의 발생이라는 기본적인 efficacy가 발생한다. 당사자 사이에 특약이 없으면 법정해제의 efficacy에 관한 규정에 따르게 되나, 채무불이행에 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손해배상의 청구권의 규정은 적용되지 않는다.
1. 해제의 소급효
2) 위험부담원칙의 한계
1. 해제의 소급효
순서
Download : 계약해제의효과완성[2].hwp( 94 )
Ⅰ. 서론
1) 위험부담원칙의 적용
2) 손해배상의 범위
3 . 원상회복 의무와 위험부담
해제에 의하여 계약은 소급적으로 소멸한다. 즉 해제된 계약자체로부터 발생한 efficacy는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던 것과 같은 경우처럼 소급적으로 소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