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체와 국어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0 17:45
본문
Download : 매체와 국어교육.pptx
③ 일반인들도 정보의 적극적인 창조자이자 제공자로서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2. 매체언어와 매체언어 교육의 관념은 무엇일까?
1) 매체언어와 매체언어 교육:
2) 미디어 의미의 비판적 수용과 생산 능력 교육
① 비판적 수용
② 생산 능력 교육
c. 매체언어를 통한 소통 능력이 텍스트의 이해(수용)와 표현(생산)뿐 아니라 유통능력까지도 포함하게 된 것은 이와 같은 미디어 자체의 變化와 관련된다
(1) 언어 양식과 매체 관념의 구분.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매체와 국어교육.pptx( 68 )
다.
② 대량 전달 방식의 소통에서는 메시지 송신자의 effect력이 매우 크고 이를 수신하는 이들은 일방적으로 매시지를 전달받는 수동적 입장에 놓이기 쉽다.
*…(省略)① 메시지를 주고받는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텔레비전과 같은 기존의 대중매체와 달리 매우 활발하여, 그런 점에서 면대면 소통방식을 닮았다고 할 수 있다
② 그 디지털 장비의 가격이 전통적 대중매체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매체와 국어교육 , 매체와 국어교육인문사회레포트 , 매체와 국어교육
순서
매체와,국어교육,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매체와 국어교육
매체와 국어교육
_SLIDE_1_
매체와 국어교육
_SLIDE_2_
1. 국어교육에서 매체에 대한 교육이 왜 필요할까?
송수신자→메시지→송수신자(텍스트)
← ←
송수신자→메시지→미디어→송수신자
(텍스트)
← ← ←
미디어가 개입되지 않은 소통
미디어가 개입된 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