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ay.co.kr 한국어와 핵 이동: 종결형을 중심으로 > uplay6 | uplay.co.kr report

한국어와 핵 이동: 종결형을 중심으로 > uplay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uplay6

한국어와 핵 이동: 종결형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07-27 23:15

본문




Download : 한국어와 핵 이동 종결형을 중심으로.hwp







1.2.2. 반대측

‘-시-’에 통사적 지위를 부여하는 것에 반대하는 입장이 제시하는 논증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가)는 ‘-시-’만을 일치소로 본 데 따른 잘못된 논증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시-’가 없더라도 ‘-∅-`형태로 일치소를 설정할 수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1나)에 대한 것은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

(1) 가. ‘-시-’가 없어도 주격이 가능하다: Shon, Hong and Hong(1996), 임홍빈(1997:135)등.

나. 일치소가 주어와 일치를 보이지만, 주어에 의해서만 존대 일치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므로 일치소를 설정할 경험적 근거가 미약하다: Y.-J. Kim(1992), J.-M. Yoon(1998), 임홍빈(1997)등.

다.

라. 일치소가 주격을 부여한다면 주격이 부여되는 모든 성분(成分)과 동사형이 일치를 보여야 하나 그렇지 못하다: K.-S. Kim(1996), J.-M. Yoon(1998)등.

마. 어미가 통사적 핵으로 설정되기 위해서는 접속문의 두 접속항을 영향권 안에 두어야 하나, ‘-시-’의 경우는 그렇지 못하다: J.-M. Yoon(1990)등.

1.2.3. 일치소 살리기

(1)에서 제시된 일치소 설정에 대한 반대 논증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Download : 한국어와 핵 이동 종결형을 중심으로.hwp( 11 )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한국어와 핵 이동: 종결형을 중심으로

순서

한국어와 핵 이동: 종결형을 중심으로에 대한 글입니다. 동사구 내부 성분(成分)에 상대하여도 주격이 부여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경우는 일치소에 의해 지배되지 않으므로 문제이다.국어의통사구조-시리즈11 , 한국어와 핵 이동: 종결형을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국어의통사구조-시리즈11

한국어와%20핵%20이동%20종결형을%20중심으로_hwp_01.gif 한국어와%20핵%20이동%20종결형을%20중심으로_hwp_02.gif 한국어와%20핵%20이동%20종결형을%20중심으로_hwp_03.gif 한국어와%20핵%20이동%20종결형을%20중심으로_hwp_04.gif







다. (1다)의 논증은 격부여에 있어서 지배 개념(槪念)이 절대적일 이유가 없다는 점에서 약화된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동사구 내부 성분(成分)에 대해 주격이 부여되는 경우는 서술어가 상태 동사 혹은 형용사인 경우로만 국한되며, 이런 점을 들어 한국어의 격부여에 있어서는 지배 개념(槪念) 외에 다른 개념(槪念)이 더 유효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기존 연구들이 있음을 말하고 있다 (1라) 및 (1마)에 대한 것도 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으로 직접적인 說明(설명) 이 필요함을 느낀다. 논자는 반대측의 논증보다는 찬성측의 논증이 어느 정도 더 확고한 것으로 보고 이를 통해 한국어에서 ‘-시-’를 한 변이형으로 하는 일치소라는 기능핵이 설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1…(省略)



한국어와 핵 이동: 종결형을 중심으로에 대한 글입니다.
전체 17,07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www.uplay.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