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과 소식 시의 호방풍격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04 16:15
본문
Download : 이백과 소식 시의 호방풍격 비교.hwp
소식은 이 시의 서문을 이렇게 남기고 있따 “나는 그때 일이 있어서 더 이상 갈 수 없었으므로 밤에 외투를 입고 삼료와 함께 황루에 우두커니 서서는, 이백이 죽은 뒤로 삼백 년 동안 이런 기쁨을 누릴 줄 아는 이가 없다고 하면서 서로 마주보고 웃었다.” “余時以事不得往, 夜著羽衣, 佇立于黃樓上, 相視而笑, 以爲李太白死, 世間無此樂三百餘年矣.”
호방한 시풍의 다른 시를 보자.
已外浮名更外身, 區區雷電若爲神?山頭只作嬰兒看, 無限人間失箸人.
(蘇軾《唐道人言:天目山上俯視…(To be continued )
레포트/기타
다. 이백과소식시의호방풍 , 이백과 소식 시의 호방풍격 비교기타레포트 , 이백과 소식 시의 호방풍격 비교
설명
이백과,소식,시의,호방풍격,비교,기타,레포트






이백과 소식의 시에 나타난 호방풍격을 analysis하고 서로 다른 원인을 analysis한 리포트입니다.이백과소식시의호방풍
이백과 소식 시의 호방풍격 비교
Download : 이백과 소식 시의 호방풍격 비교.hwp( 38 )
순서
이백과 소식의 시에 나타난 호방풍격을 분석하고 서로 다른 원인을 분석한 리포트입니다. 그리고 그 시의는 아무데도 “머무는 곳 없는” 대자유의 정신이다.
이는 元豐3年(1080), 소식이 彭城에서 뱃길을 따라 흐른 소감을 쓴 《百步洪二首》중 한 수이다. 이 대자유의 정신이란 바로 《金剛經》의 핵심 구절인 “마음에 고착이 없으면 참마음이 살아난다”(應無所住而生其心)는 명제에 다름 아닐것이다. . 그러므로 그는 이 순간 이백을 상기했던 것이다. 친구 參寥스님에게 준 이 제1수는 역시 산천 기행의 감회를 그린 점에서 위의 이백 시와 비슷한 소재를 갖고 있따 그러나 여기서 주목되는 점은 이 시 역시 뱃길처럼 숨쉴 새 없이 펼쳐지는 시의의 흐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