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분당병원EMR도입instance(사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08 21:14
본문
Download : 서울대분당병원EMR도입사례.hwp
따라서 환자의 진료행위를 중심으로 발생한 업무상의 자료(data)나 진료 및 수술·검사 기록을 전산에 기반 하여 입력·정리(整理) ·보관하는 시스템을 통칭한다.
2. 의무기록전산화의 관념
의무기록전산화에 관련된 관념은 크게 2가지(CPR, EMR)로 구분할 수 있따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이란 미국 MRI(Medical Record Institute)의 관념정의(定義)에 따르면 종이매체에 의해 기록돼 온 모든 의료기록을 그 업무처리 구조나 정보의 범위, 정보내용에 있어 변형 없이 동일하게 전산화를 통해 업그레이드시킨 형태를 말한다.
위의 그림은 EMR의 원리를 나타내주는 그림이다. 이러한 종이차트가 없어진 대신 환자 각각에겐 환자번호가 주어진다. 대신 담당의사는 책상에 놓은 컴퓨터에 진료내용을 입력한다. EMR의 사용 하에서는 환자가 진료실에 들어오면 의사 앞에 있었던 종이차트를 볼 수 없다.M[1].I.S-분당서울대병원의EMR도입사례 , 서울대분당병원EMR도입사례의약보건레포트 ,
순서
M[1].I.S-분당서울대병원의EMR도입instance(사례)






레포트/의약보건
Download : 서울대분당병원EMR도입사례.hwp( 71 )
다.
서울대분당병원의 정보화도입instance(사례)를 중심으로 分析하고 현제어떻게 시행을 하고 어떤식으로 도입이되었으며 도입배경과 이것들의 결과 즉, 이 방식의 장단점을 생각해보고 정보화병원의 첫장을 연 병원인(原因) 서울대 분당병원입니다. EMR은 환자의 기초정보부터 병력사항, 약물reaction(반응), 건강상태, 진찰 및 입 퇴원기록 방사선 및 화상진찰 결과, 기타 보조연구결과 등을 주요 내용으로 포함한다. 그래서 다른 검사의 장소에 갔을 시에는 이 환자의 번호만 컴퓨터에 입력만하면 환자의 담당의사의 처치 내용…(To be continued )
설명
,의약보건,레포트
서울대분당병원EMR도입instance(사례)
서울대분당병원의 정보화도입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현제어떻게 시행을 하고 어떤식으로 도입이되었으며 도입배경과 이것들의 결과 즉, 이 방식의 장단점을 생각해보고 정보화병원의 첫장을 연 병원인 서울대 분당병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