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국제자유도시 추진과 지대조세제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08 17:57
본문
Download : 제주 국제자유도시 추진과 지대조세제에 관하여.hwp
Download : 제주 국제자유도시 추진과 지대조세제에 관하여.hwp( 85 )
다. 제주국제자유도시추진과지대조세제에관하여 , 제주 국제자유도시 추진과 지대조세제에 관하여법학행정레포트 ,
순서
제주 국제자유도시 추진과 지대조세제에 관하여
설명






레포트/법학행정
4. 제주 4.3의 한과 한국 교회의 회개
제주인들의 한은 제주4.3(1948-1954)과 직결되어 있다 4.3 당시 제주 인구의 10%인 3만명이 사망하였고, 그 중 10살 미만 어린이는 9백명에 달하였다. 이도종 목사는 영혼들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난리 속에서도 위험한 산행을 마다하지 않았는데, 결국 한라산에 입산한 산사람들에게 기독교 목사이며, 미국의 스파이라는 죄명으로 죽임을 당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4.3 당시 서북청년단(이하 서청)의 잔혹한 살상, 강간, 범죄 행위와 그 서청의 대부분이 기독교인이라는 점, 그리고 미국과 이승만 政府(정부)의 배경이 기독교라는 점에 대해 하나님과 제주인 앞에 한국교회는 회개와 반성을 해야 한다.
현재 50여만 제주인 중 기독교인 비율은 0.5%밖에 안된다 여기에는 무속과 유교, 불교의 影響과 더불어, 4.3시 기독교 배경을 가지고 있던 `육지 것들`(제주인이 당시 외부에서 들어온 서청과 경찰을 부를 때 사용)에 대한 반감이 내재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교회는 제주에서 `육지 것들`로 불려지고 있다
물론 4.3의 와중에 빛과 같은 기독교인과 교회도 있었다.
제주 국제자유도시 추진에 대해 비판하고 제주 지대조세제에 대해 설명한 리포트입니다.
또 `의귀교회`는 그 주변지역이 무속신앙이…(skip)
제주국제자유도시추진과지대조세제에관하여
,법학행정,레포트
제주 국제자유도시 추진에 대해 비판하고 제주 지대조세제에 대해 설명(explanation)한 리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