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유학의 이 관념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12 14:47
본문
Download : 조선 유학의 이 개념에 관한 연구.hwp
리나 기의 개념(槪念)은 ꡔ대학ꡕ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고, ꡔ중용ꡕ에서도 기는 혈기로 리는 조리 정도의 의미로 사용된다된다. 다만 인간사회의 윤…(To be continued )
,인문사회,레포트
사서에서도 리는 아주 드물게 등장한다. 다만 만인에게 의와 함께 공통적으로 부여되어 있는 것으로 한 번 사용될 뿐이다. 그런데 리뿐만이 아니라 리와 별다른 구분 없이 쓰이는 도도 가치론적 의미로 사용될 뿐, 자연법칙의 의미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렇게 본다면 자연에 대한 존재론적 分析보다는 인간사회의 윤리규범에 관심을 기울였던 선진유가의 사고의 property(특성)이 리개념(槪念)의 사용에서도 드러나는 것이다. 그리고 세상 모든 일은 이 도로부터 말미암는다. ꡔ맹자ꡕ의 경우에도 도는 자연의 법칙이 아니라 그저 사람이 사는 도리일 뿐이다. ꡔ론어ꡕ에서 도는 인간이 살아 나가는 데 따라야 할 도리를 가리킬 뿐이다. 그런데 리뿐만이 아니라 리와 별다른 구분 없이 쓰이는 도도 가치론적 의미로 사용될 뿐, 자연법칙의 의미로... , 조선 유학의 이 개념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다. ꡔ중용ꡕ뿐만 아니라 ꡔ대학ꡕ에서도 도는 사람들이 살아야 할 가치규범을 포괄하는 의미이며, 질료·에너지로서의 기와 원리·법칙으로서의 리를 구분하는 사고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런데 리뿐만이 아니라 리와 별다른 구분 없이 쓰이는 도도 가치론적 의미로 사용될 뿐, 자연법칙의 의미로...
사서에서도 리는 아주 드물게 등장한다. 맹자에게서도 리라는 개념(槪念)은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Download : 조선 유학의 이 개념에 관한 연구.hwp( 14 )
순서
조선 유학의 이 관념에 관한 연구
사서에서도 리는 아주 드물게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