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기억에 대한 문헌적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5 10:30
본문
Download : [의학] 기억에 대한 문헌적 고찰.hwp
![[의학] 기억에 대한 문헌적 고찰-7138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9D%98%ED%95%99%5D%20%EA%B8%B0%EC%96%B5%EC%97%90%20%EB%8C%80%ED%95%9C%20%EB%AC%B8%ED%97%8C%EC%A0%81%20%EA%B3%A0%EC%B0%B0-7138_01.jpg)
![[의학] 기억에 대한 문헌적 고찰-7138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9D%98%ED%95%99%5D%20%EA%B8%B0%EC%96%B5%EC%97%90%20%EB%8C%80%ED%95%9C%20%EB%AC%B8%ED%97%8C%EC%A0%81%20%EA%B3%A0%EC%B0%B0-7138_02_.jpg)
![[의학] 기억에 대한 문헌적 고찰-7138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9D%98%ED%95%99%5D%20%EA%B8%B0%EC%96%B5%EC%97%90%20%EB%8C%80%ED%95%9C%20%EB%AC%B8%ED%97%8C%EC%A0%81%20%EA%B3%A0%EC%B0%B0-7138_03_.jpg)
![[의학] 기억에 대한 문헌적 고찰-7138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9D%98%ED%95%99%5D%20%EA%B8%B0%EC%96%B5%EC%97%90%20%EB%8C%80%ED%95%9C%20%EB%AC%B8%ED%97%8C%EC%A0%81%20%EA%B3%A0%EC%B0%B0-7138_04_.jpg)
![[의학] 기억에 대한 문헌적 고찰-7138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9D%98%ED%95%99%5D%20%EA%B8%B0%EC%96%B5%EC%97%90%20%EB%8C%80%ED%95%9C%20%EB%AC%B8%ED%97%8C%EC%A0%81%20%EA%B3%A0%EC%B0%B0-7138_05_.jpg)
1. Tulving(2000)의 定義(정이)
의학,기억에 대한 문헌적 고찰
(3) 비개인적 기억(impersonal memory): 어떤 단어나 이미지의 형태나 형성 혹은 추상적 관념, 사고 및 개념(槪念) 등과 같은 기억 ⇒ 의미기억과 유사
2) 기억의 구조 및 저장기간과 정보의 의식여부에 따른 용어
Download : [의학] 기억에 대한 문헌적 고찰.hwp( 68 )
(1) 기계적 기억(rote memory): 한 개인의 일과는 관련이 없으며 어떤 의미나 뜻을 가지지 않은 것으로 별다른 의식이나 집중을 하지 않고도 자동적 기계적으로 나오는 기억(예: 걷는 것, 피아노 치는 것, 운전하는 것) ⇒ 절차기억과 유사
5) 정보 인출 과정 ⇒ 인출과정(a process of retrieval)
레포트 > 의학계열
(2) 개인적 기억(personal memory or reminiscence memory): 개인적으로 경함한 사건, 사실, 상황 등을 기억하는 것 ⇒ 일화기억과 유사
3) 그 창고 있는 정보 그 자체 ⇒ 창고속의 기억형적(memory trace in the store)
2) 정보가 모여져 있는 가상적인 창고 ⇒ 기억창고(memory store)
4) 정보의 어떤 속성 ⇒ 기억형적의 속성(property of memory trace)
순서
II. 기억과 관련된 용어의 정이
1) 정보를 부호화, 저장, 인출하는 신경인지적 능력 ⇒ 기억력(general capacity)
6) 어떤 개인이 자신의 무언가를 기억하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는 현상
설명
1. Tulving(2000)의 정의 1) 정보를 부호화, 저장, 인출하는 신경인지적 능력 ⇒ 기억력(general capacity) 2) 정보가 모여져 있는 가상적인 창고 ⇒ 기억창고(memory store) 3) 그 창고 있는 정보 그 자체 ⇒ 창고속의 기억형적(memory trace in the store) 4) 정보의 어떤 속성 ⇒ 기억형적의 속성(property of memory trace) 5) 정보 인출 과정 ⇒ 인출과정(a process of retrieval) 6) 어떤 개인이 자신의 무언가를 기억하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는 현상 ⇒ 인출시 지각 경험 유무(phenomenal experience at retrieval, or what not)
1) 기억의 대상에 대한 용어
[의학] 기억에 대한 문헌적 고찰
(3) 작업기억(working memory): 아직 완전한 형태로 저장되지 않고 현재 정보처리에 참여하고 있는 기억, 정보를 일시적으로 보유하고, 계획하고 실제로 하는 인지체계속에서의 기억,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 단기기억이 하나의 단일체가 아니라 여러 하위체계로 되어 있다는 생각에서 제기된 개념(槪念)
(1) 단기기억(short-term memory): 수초에서 1분 정도가 주의된 정보를 유지하고 의시적, 통제적 처리를 하는 기억, 5-9bit의 정보저장력, 만성적 스트레스, 정신적 피로, 일시적인 정보의 양에 영향을 받음
(2) 장기기억(long-term memory): 단기기억의 시간이상으로 기억되는 기억, 후각이나 감정이 영향을 받음
⇒ 인출시 지각 경험 유무(phenomenal experience at retrieval, or what not)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