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평가의 현장 적용 事例 -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5 19:56
본문
Download : 수행평가의 현장 적용 사례 -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를 중심으로.hwp
,사범교육,레포트
4. 수학과 수행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어떻게 처리하는가?
6 수학과 수행평가를 실천하면서 느낀점은 무엇인가?






5. 수학과 수행평가의 문항의 예는 어떤 것이 있는가?
설명
Ⅰ. 들어가는 말
Ⅱ. 본 글
1. 발표자의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생각
2. 수학과 수행 평가를 위한 교수 - 학습의 방향
3. 수학과 수행 평가를 위한 준비 및 진행 과정
4. 수행 평가 결과의 처리
5. 수행 평가의 평가 문항의 예
6. 수행평가를 실천하려고 노력하면서 느낀점 -끝맺는 말-
아울러 본 발표자의 발표 내용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한점을 갖는다.1. 발표자의 수학과 수행평가에 관한 생각(평가관)은 어떤 것인가?2. 수학과 수행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교수 - 학습의 방향은 어떤 것인가?3. 수학과 수행평가를 위해 어떤 준비와 과정이 필요한가?4. 수학과 수행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어떻게 처리하는가?5. 수학과 수행평가의 문항의 예는 어떤 것이 있는가?6 수학과 수행평가를 실천하면서 느낀점은 무엇인가? , 수행평가의 현장 적용 사례 -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를 중심으로사범교육레포트 ,
다.
둘째, 발표의 실천 사례(instance) 예는 초등학교 1학년의 수 영역을 중심으로 1998년~1999년 사이에 실천한 사례(instance)이다.
· 수학적 사고력, 탐구 능력, 의사 소통 능력 등을…(투비컨티뉴드 )
열린교육과 수행평가라는 시대적 사회적 요청을 긍정적 시각에서 받아들이고, 變化하려고 애쓰는 한 사람으로서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수학과 수행평가의 실천 事例에 대해 다음과 같이 6가지 관점에서 발표하려고 한다.
· 급격히 change(변화)하는 다양한 사회에서 아동의 개인적 다양성을 인정한다.
레포트/사범교육
Download : 수행평가의 현장 적용 사례 -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를 중심으로.hwp( 34 )
순서
3. 수학과 수행평가를 위해 어떤 준비와 과정이 필요한가?
1. 발표자의 수학과 수행평가에 관한 생각(평가관)은 어떤 것인가?
2. 수학과 수행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교수 - 학습의 방향은 어떤 것인가?
수행평가의 현장 적용 事例 -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를 중심으로
열린교육과 수행평가라는 시대적 사회적 요청을 긍정적 시각에서 받아들이고, 변화하려고 애쓰는 한 사람으로서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수학과 수행평가의 실천 사례에 대해 다음과 같이 6가지 관점에서 발표하려고 한다. 다만 1학년 아동들로 하여금 평가의 문항을 직접 재구성하거나 문제 상황을 재구성해 보게 하는 작업이 곤란했음을 밝힌다.
· 과거의 전통적 시험에서 탈피하여 학습 과정에서 무엇을 알고, 어떻게 생각하며, 어떻게 행동하는가를 평가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표 내용은 위의 관이나 학교의 수행 평가 계획을 근거로 한 발표자 개인의 실천 사례(instance)이며, 본 세미나에서 토론의 방향을 제시할 많은 시사점을 갖고 있다고 본다.
Ⅱ. 본 글
1. 발표자의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생각
가. 문헌 등을 통해 얻은 수학과 수행평가의 의미
· 평가는 발전적 수업 improvement을 위한 학습 지도의 일환으로 충실한 수학학습과 다양한 평가 기법을 요구한다. 평가 문항의 예는 많은 수행 평가에 관한 연구 논문이나 학위 논문 등에 제시되었던 외국( NCTM 등)의 평가 문항, 또는 시중에 활자화되어 나온 평가 문항들은 가급적 싣지 않고 주로 교과서 단원과 관련된 평가 문항으로 교사가 현장에서 실제 제작하여 사용한 것으로만 기재했기 때문에 평가 문항으로서의 적절성이 토론되어지길 바란다.
첫째, 발표자가 근무하는 지역 교육청이나 학교의 수행평가 실시 계획에 대해 따로 언급하지 않는다.
셋째, 평가 문항의 예는 각 사례(instance)별로 일시에 사용 된 것이 아니라 실시 시기와 아동의 수준, 그리고 사전 활동의 양에 따라 적절히 취사 선택하여 평가한 것이다.
넷째, 본 발표 내용은 수행 평가를 위한 계획된 연구를 토대로 한 것이 아니라 본 발표자가 수학과 수업 improvement을 위한 연구 활동 한 부분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타당도나 신뢰도,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많은 제한점이 있음을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