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질병 치유의 여러 양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21 15:38
본문
Download : 16세기 질병 치유의 여러 양상.hwp
8월 5일에는 내열이 나고 피골이 상접하고 정신이 혼미하였…(省略)
16세기 질병 치유의 여러 양상
3) <1551년 손녀 숙복의 감모와 사망>
설명






Download : 16세기 질병 치유의 여러 양상.hwp( 44 )
레포트/생활전문
3) <1551년 손녀 숙복의 감모와 사망>이ə돈ə 둘째 손녀 숙복의 만 2년 남짓한 짧은 일생은 ⌈양아록&... , 16세기 질병 치유의 여러 양상생활전문레포트 ,
,생활전문,레포트
이ə돈ə 둘째 손녀 숙복의 만 2년 남짓한 짧은 일생은 ⌈양아록&...
다. 이에 조금 회복되었지만, 목뼈가 아파서 머리를 들 수가 없어 음식을 먹지 못하였다. 6월 12일 처음 숙희와 숙복이 설사를 하기 스타트하여 열흘이 지나도 차도가 없자 사군자탕을 마시게 하였다.
순서
3) <1551년 손녀 숙복의 감모와 사망>
이ə돈ə 둘째 손녀 숙복의 만 2년 남짓한 짧은 일생은 ⌈양아록⌋의 며느리에 대한 생산력에도 자세히 나와 있다아 즉 숙복은 1549년 정월 5일에 태어나서 1550년 정월에 마마를 잘 겪었으나 4월에 어미가 다시 임신을 하니 가을에 젖을 끊고 다만 소두죽으로 살았는데 1551년 5월 그믐에 처음 토사를 하더니 날로 심해져서 낫지를 않고 약물을 투여하였으나 효율가 없더니 8월 초9일에 죽었다.
일기에 나타난 숙복의 설사 증세와 그에 대한 대응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에 백출산을 먹게 하지만, 한 달이 지난 7월 18일부터는 생의가 없어지고, 25일에는 목향육 등을 더한 팔물탕을 마시게 하지만, 죽물도 마시지 못하고 젖도 빨지를 못하게 된다 이에 7월 29일에는 무녀 추월을 불러 숙복의 병을 구명토록 하였으나 별다른 대답을 듣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