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업의 생산성(1955∼1992)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12 04:03
본문
Download : 한국농업의 생산성(1955∼1992).hwp
즉 分析기간중 한국농업의 생산성이 어떠한 속도로 성장하고, 그 속도는 어떻게 변해 왔는가를 농업부문 전체의 산출, 투입의 추계를 통해 파악하고자 작성한 글입니다. 그런데, 매우 다양한 농산물을 일정한 공통단위로 평가하고, 또 그 집계치의 歷史적 變化(변화)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준가격으로 평가한 실질가액의 집계치를 계측할 필요가 있는데, 본고에서는 1985년 가격을 기준으로 평가·집계하였다. 추계대상농산물은 경종부문의 52개, 축잠부문의 20개의 총 72개 품목이다. 한국농업의00 , 한국농업의 생산성(1955∼1992)공학기술레포트 ,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Download : 한국농업의 생산성(1955∼1992).hwp( 20 )
1955∼92년간 한국농업의 성장과정을 생산성의 측면으로부터 파악하려는 것입니다.
축산국 내부에서 추계가 이루어지고, 그에 관한 기초reference(자료)가 공개되지 않는 실정에서, 축산부문의 경상생산액에 대해 논란할 여지는 거의 없지만, 경종부문의 생산량통계를 이…(투비컨티뉴드 )
순서
다.
한국농업의 생산성(1955∼1992)
,공학기술,레포트
II. 산출 및 요소투입의 추계
1. 산출의 추계
본고에서 농업산출은 경종부문 및 축산부문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총량인 ‘농업총생산’으로 정의(定義)한다.레포트/공학기술
설명
한국농업의00
1955∼92년간 한국농업의 성장과정을 생산성의 측면으로부터 파악하려는 것입니다. 실질생산액의 추계는, 개별농산물의 생산량에 기준년도의 가격을 곱하거나(라스파이레스의 수량지수형태), 당년가격에 의해 평가한 농업생산액을 기준년도의 가격지수로 디플레이트하여(파쉐의 수량지수형태) 구할 수 있따 본고에서는, 생산량과 가격에 관한 reference(자료)를 구할 수 있는 경종작물과 축잠부문의 잠견, 계란 및 우유 등은 전자의 방식으로 추계했고, 그것이 불가능한 나머지 축산부문의 추계는 후자의 방식에 따랐다. 즉 분석기간중 한국농업의 생산성이 어떠한 속도로 성장하고, 그 속도는 어떻게 변해 왔는가를 농업부문 전체의 산출, 투입의 추계를 통해 파악하고자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