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통일독일 문학논쟁의 비평사적의 미 / 통일독일 문학논쟁의 비평사적의 미 1)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6 06:03
본문
Download : 통일독일 문학논쟁의 비평사적 의미.hwp
미학과 도덕 혹은 미학과 정치의 분리현상과 그에 따른 지식인의 심미화·탈정치화 경향은 이미 그전서부터 독일문학사에 독특하게 반영되어 나타나는데, 우리는 이러한 현상과 경향이 독일문학의 주된 흐름 중의 하나임을 각별히 강조하고자 한다. 논쟁의 전말에 대해서는 이미 국내에도 여러 순서 상세하게 소개된 바 있거니와, 이 글의 본래 취지는 논쟁의 전개과정 자체보다도 이 문학논쟁이 독일문학에서 어떠한 비평사적 의미를 가지는가(혹은 가질 수 있는가)를 탐색해 보는 데 있기 때문일것이다 이러한 취지에 맞춰 먼저 문학논쟁의 주요 쟁점을 간략하게 정리(arrangement)한 후, 신념미학의 부정을 통한 문학예술의 독자성 옹호가 통일공간에서 뿐만 아니라 깊은 연원을 가진 독일문학 특유의 문학현상임을 독문학 비평사를 통해 짚어 보도록 하겠다. Ⅱ 널리 알려진...
순서
통일독일 문학논쟁의 비평사적 의미 1) 이 덕 형(경북대학교) Ⅰ 이 글...





Download : 통일독일 문학논쟁의 비평사적 의미.hwp( 22 )
다. 이 경우 60년대말의 ‘쮜리히 Z rich 문학논쟁’은 통일문학논쟁의 전사(前史)가 되겠고, 독일 고전주의 미학은 양대논쟁의 근간을 이루었던 순문학주의의 뿌리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문학논쟁의 세세한 경과과정은 생략(省略)하도록 하겠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장구한 독일문학 비평사에 비추어 1990년의 통일문학논쟁은, 그리고 그 귀결점은 결코 일회적이고 우연한 현상이 아니었다.
인문사회 통일독일 문학논쟁의 비평사적의 미 / 통일독일 문학논쟁의 비평사적의 미 1
[인문사회] 통일독일 문학논쟁의 비평사적의 미 / 통일독일 문학논쟁의 비평사적의 미 1)
설명
통일독일 문학논쟁의 비평사적 의미 1) 이 덕 형(경북대학교) Ⅰ 이 글...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통일독일 문학논쟁의 비평사적 의미 1) 이 덕 형(경북대학교) Ⅰ 이 글은 1990년 초여름 “크리스타 볼프 Christa Wolf-논쟁”의 주요쟁점 중의 하나였던 이른바 ‘신념미학 Gesinnungs sthetik’ 문제가 독일의 특수한 지적 풍토에서 어떻게 굴절되어 왔는가를 비평사적으로 조명해 보고자 한다. 이 논쟁이 도덕과 미학의 상관관계에 있어 신념미학의 부정, 곧 예술의 독자성 옹호로 귀결된 것, 나아가 미학과 도덕의 분리라는 이름으로 사회변동에 대한 지식인의 책임문제를 과소평가하는 쪽으로 논점이 정리(arrangement)된 것을 그저 우연한 현상이라고만 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이 글이 제기하고자 하는 문제의 요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