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리학] 염증의 기전에 관해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08 22:11
본문
Download : [병리학] 염증의 기전에 관해서.hwp
후자의 과정에서는 염증 병소에 반흔이 남게 된다된다.
레포트 > 의학계열
2. 염증의 요인 (Causes of inflammation)
5. 염증에 effect을 미치는 생체의 조건
3. 림프관 및 림프절
9. 아급성 염증 (Subacute inflammation)
4. 염증의 반응
1. 염증의 정의 (Definition of inflammation) 2. 염증의 원인 (Causes of inflammation) 3. 림프관 및 림프절 4. 염증의 반응 5. 염증에 영향을 미치는 생체의 조건 6. 염증의 기본 증후 7. 급성염증 8. 만성염증 (Chronic inflammation) 9. 아급성 염증 (Subacute inflammation) 10. 삼출물의 특성에 의한 분류 11. 염증의 질환 12. 염증의 전신적 영향 <참고문헌>
12. 염증의 전신적 effect
8. 만성염증 (Chronic inflammation)
11. 염증의 질환
10. 삼출물의 특성에 의한 분류
설명
병리학,염증의 기전
Download : [병리학] 염증의 기전에 관해서.hwp( 35 )
1. 염증의 정의 (Definition of inflammation)
순서
7. 급성염증
[병리학] 염증의 기전에 관해서
![[병리학] 염증의 기전에 관해서-1258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B%B3%91%EB%A6%AC%ED%95%99%5D%20%EC%97%BC%EC%A6%9D%EC%9D%98%20%EA%B8%B0%EC%A0%84%EC%97%90%20%EA%B4%80%ED%95%B4%EC%84%9C-1258_01.jpg)
![[병리학] 염증의 기전에 관해서-1258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B%B3%91%EB%A6%AC%ED%95%99%5D%20%EC%97%BC%EC%A6%9D%EC%9D%98%20%EA%B8%B0%EC%A0%84%EC%97%90%20%EA%B4%80%ED%95%B4%EC%84%9C-1258_02_.jpg)
![[병리학] 염증의 기전에 관해서-1258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B%B3%91%EB%A6%AC%ED%95%99%5D%20%EC%97%BC%EC%A6%9D%EC%9D%98%20%EA%B8%B0%EC%A0%84%EC%97%90%20%EA%B4%80%ED%95%B4%EC%84%9C-1258_03_.jpg)
![[병리학] 염증의 기전에 관해서-1258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B%B3%91%EB%A6%AC%ED%95%99%5D%20%EC%97%BC%EC%A6%9D%EC%9D%98%20%EA%B8%B0%EC%A0%84%EC%97%90%20%EA%B4%80%ED%95%B4%EC%84%9C-1258_04_.jpg)
![[병리학] 염증의 기전에 관해서-1258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B%B3%91%EB%A6%AC%ED%95%99%5D%20%EC%97%BC%EC%A6%9D%EC%9D%98%20%EA%B8%B0%EC%A0%84%EC%97%90%20%EA%B4%80%ED%95%B4%EC%84%9C-1258_05_.jpg)
6. 염증의 기본 증후
얼굴에 부스럼이 나거나 손발 등에 열이 가해지거나, 강산, 강알칼리 등이 묻었을 때 그 국소는 붉게 열이 나며 동통을 일으킨다. 염증(Inflammation)은 여러 가지 자극으로 그 국소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생체reaction response 과정이다. 따라서 염증은 외부의 자극에 대한 양면성을 가지고 생체의 reaction response이라 할 수 있다아 일반적으로 세포의 손상은 유해한 자극으로 인한 세포의 수동적인 생체 reaction response이지만, 염증은 유해한 자극에 대한 생체의 능동적인 방어 reaction response이라고 볼 수 있다아
다. 이와 같은 염증과정은 조직의 손상에 대한 즉각적인 혈관변화 reaction response과 동시에 신체의 수복기전이 스타트되는 동시성이며 연속적인 것이 특징이다. 수복은 두 가지 기전으로 이뤄진다. 염증은 해로운 자극 물질을 파괴하고 희석하며 격리시킨다. 계속된 염증 reaction response으로 손상된 조직은 여러 형태로 치유되고 구축된다된다. 그러나 염증과 수복이 항상 개체에 유익한 작용만을 하는 것은 아니며 개체에 해로운 effect(영향) 을 미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마치 그곳이 불에 타고 있는 것과 같은 감각으로 기원전 그리스 로마시대부터 염증이라 불려 왔다. 염증의 말기 현상인 치유(healing)와 재구축(reconstitution)을 수복(repair)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염증은 개체를 해로운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는 유익한 생체 reaction response이다. 첫째 기전은 상해를 받은 조직의 실질세포가 재생(regeneration)되어 결손부위를 채우게 되는 기전이고, 다른 기전은 섬유 모세포의 증식에 의하여 생긴 반흔 조직(scar tissue)이 결손부위를 대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