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물리experiment(실험) - 포사체운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06 21:28
본문
Download : 일반물리실험 - 포사체운동.hwp
발사 속도가 더 빠르면 공기 저항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받고, 진동이 많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일반물리experiment(실험) - 포사체운동
초기 속도를 구하고 theory 값을 구한 다음 측정값과 비교를 한 결과 오차가 발생했다. 3. 고찰 및 건의 사항





설명
포사체운동,포사체
실험 결과 우선, 1단으로 발사했을 때의 오차와 2단으로 발사했을 때의 오차를 비교해봤을 때 1단에서 20도, 30도, 45도, 60도, 70도일 때의 오차가 각각 10.3%, 6.3%, -0.5%, 2.6%, 3.5%인 것에 반해, 2단에서 20도, 30도, 45도, 60도, 70도 일 때의 오차가 각각 16.0%, 11.7%, 9.2%, 11.7%, 16.8%로 상대적으로 컸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또는, 미세한 진동이 오차 요인이 될 수 있다 플라스틱 공을 발사할 때 진동이 없이 발사될 수 없다. 발사 속도가 더 빠르면 공기 저항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받고, 진동이 많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여러 가지의 오차 요인이 존재할 수 있다 요인 각각의 오차에 기여하는 크기는 작을지 모르지만, 이런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면 이번 實驗에서 나온 오차만큼의 오차를 생성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오차가 발생한 요인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순서
또, 공기 저항을 생각할 수 있다 교실은 밀폐된 공간이었고 플라스틱 공의 속력 또한 매우 빠르지 않았으므로 그 공기저항의 크기는 매우 작다고 할 수 있지만, 분명 진공에서 實驗할 때와 일반 교실에서 實驗할 때는 차이가 미세하게나마 존재할 것이다. 발사 장치로 공을 발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진동은 항상 존재한다.
Download : 일반물리실험 - 포사체운동.hwp( 56 )
experiment(실험) 결과 우선, 1단으로 발사했을 때의 오차와 2단으로 발사했을 때의 오차를 비교해봤을 때 1단에서 20도, 30도, 45도, 60도, 70도일 때의 오차가 각각 10.3%, 6.3%, -0.5%, 2.6%, 3.5%인 것에 반해, 2단에서 20도, 30도, 45도, 60도, 70도 일 때의 오차가 각각 16.0%, 11.7%, 9.2%, 11.7%, 16.8%로 상대적으로 컸다. 이는 2단에서의 발사 속도가 1단에서의 발사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인 것 같다. 이는 2단에서의 발사 속도가 1단에서의 발사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인 것 같다. 단, 1단 20도와 30도에서 발사했을 때를 보면 각각 64.1cm와 67cm로 45도에서 발사했을 때(62.0cm)보다 멀리 나간 결과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발사체의 높이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 계산한 값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實驗 결과의 위의 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작은 값이긴 하지만 초기 속도가 발사할 때마다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초기 속도가 달라지면 작은 차이라도 오차를 만들 수 있다
다. 따라서 발사체의 높이를 고려해주었을 때의 값 즉, R-r 값을 비교해보면 항상 45도에서 발사했을 때 가장 멀리 나간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발사체의 초기 속도가 다를 수 있다 발사체의 발사 거리에 대해 theory 값을 구할 때 초기 속도를 1단일 때 2.075m/s로, 2단일 때 3.331m/s인 일정한 값으로 정하고 계산을 했다. 플라스틱 공에 진동이 발생하면 공이 종이와 닿을 때 약간 더 앞으로 갈 수도 있고, 진동으로 공기저항이 증가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크기 역시 매우 작으리라 예상할 수 있다
1단에서든 2단에서든 발사체는 theory 적으로 45도일 때 가장 멀리 나가야 하는데, 實驗 결과 역시 대부분 45도일 때가 가장 멀리 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