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사상] 현대사회에서 유교의 위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5 17:40
본문
Download : [유학사상] 현대사회에서 유교의 위치.doc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그러던 와중 우연히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라는 책을 읽게 되었는데 매우 흥미로운 내용들인 것 같아 이번 토론의 주제를 `현대사회에 있어서의 유학사상에 대한 찬반론`으로 정하였다. 하나의 주장이나 사물의 존재가 전적으로 긍정 반정립: 정립된 주장이나 사물과 모순되는 반대 주장이 세워짐 종합: 정립과 반정립은 서로 모순을 극복하고 하나의 새로운 과정 생성
반정립: 정립된 주장이나 사물과 모순되는 반대 주장이 세워짐
Download : [유학사상] 현대사회에서 유교의 위치.doc( 77 )
그러나 日本(일본)에 이어 한국, 싱가포르, 홍콩, 타이완 등 동아시아의 유교권 국가가 급속한 경제 발전을 이룩하게 되자, 유교 국가의 교육열과 엄격한 노동윤리, 그리고 유교적 전통을 이어받은 엘리트 관료의 국가관리 능력이 성장의 동력이 되고 있다는 유교 자본주의론이 대두하였다.
순서
신문에 써있는 기사들을 보고 있노라면 도대체 어디서 부터가 잘못 된 것인지를 알수가 없을 정도로 꼬인 우리 사회를 볼수가 있다 .
유교적 인문정신이나 노장의 자연주의 사상 등이, 인간성과 공동체 윤리를 파괴하고 環境문제 등을 초래한 서구 문명의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다.
“유교는 history적으로 사•농•공•상으로 대표되는 신분사회, 여성discrimination, 혈연적 폐쇄성과 그로 인한 분열본질, 부패 등의 역기능을 노정해 왔다. IMF가 초래된 것도 이 때문일 수 있고, 이에 대해 철저히 반성을 하자는 것이다. 환란의 주요原因이 유교문화권 특유의 정실자본주의와 이로 인한 부패라는 격렬한 비판이 제기된 것이다.
특히 독일의 사회학자 막스 베버는 유교의 현세適應(적응) 윤리가 개신교의 현세초월 윤리와 정반대로 기능하면서 아시아 근대화의 가장 큰 장애물이 됐다고 규정할 정도였다.
유학사상,현대사회,유교
정립: 들어가는 말…
19세기 중반, 동아시아 문명권이 서구 열강들의 기술과 무기에 굴복하면서 봉건적인 ‘구습’으로 전락했던 유교는 현대 사회에 들어와서도 근대화의 장애물 신세를 면치 못했다. 상하의 위계를 강조하는 유교의 가치체계가 민주주의를 억압하고 자유시장에서의 이윤추구에 걸림돌이 된다는 해석이 주류를 이룬 것이다.
내가 점점 나이를 먹어감이 따라 사회에 관련되어 알게 되는 과정이라고 생각하기에는 너무 정도가 심한 것 같아 걱정이 되는 요즈음이다. 중국의 5.4운동이나 문화대혁명 과정에서 유교에 대한 극단적인 비판이 제기된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내가 점점 나이를 먹어감이 따라 사회에 대해서 알게 되는 과정이라고 생각하기에는 너무 정도가 심한 것 같아 걱정이 되는 요즈음이다.
▲ 유교(=유학)를 근대화의 장애물로 인식
요즘 우리사회는 정말 어수선 하다…
![[유학사상] 현대사회에서 유교의 위치-7260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602/%5B%EC%9C%A0%ED%95%99%EC%82%AC%EC%83%81%5D%20%ED%98%84%EB%8C%80%EC%82%AC%ED%9A%8C%EC%97%90%EC%84%9C%20%EC%9C%A0%EA%B5%90%EC%9D%98%20%EC%9C%84%EC%B9%98-7260_01.jpg)
![[유학사상] 현대사회에서 유교의 위치-7260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602/%5B%EC%9C%A0%ED%95%99%EC%82%AC%EC%83%81%5D%20%ED%98%84%EB%8C%80%EC%82%AC%ED%9A%8C%EC%97%90%EC%84%9C%20%EC%9C%A0%EA%B5%90%EC%9D%98%20%EC%9C%84%EC%B9%98-7260_02_.jpg)
![[유학사상] 현대사회에서 유교의 위치-7260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602/%5B%EC%9C%A0%ED%95%99%EC%82%AC%EC%83%81%5D%20%ED%98%84%EB%8C%80%EC%82%AC%ED%9A%8C%EC%97%90%EC%84%9C%20%EC%9C%A0%EA%B5%90%EC%9D%98%20%EC%9C%84%EC%B9%98-7260_03_.jpg)
![[유학사상] 현대사회에서 유교의 위치-7260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602/%5B%EC%9C%A0%ED%95%99%EC%82%AC%EC%83%81%5D%20%ED%98%84%EB%8C%80%EC%82%AC%ED%9A%8C%EC%97%90%EC%84%9C%20%EC%9C%A0%EA%B5%90%EC%9D%98%20%EC%9C%84%EC%B9%98-7260_04_.jpg)
![[유학사상] 현대사회에서 유교의 위치-7260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602/%5B%EC%9C%A0%ED%95%99%EC%82%AC%EC%83%81%5D%20%ED%98%84%EB%8C%80%EC%82%AC%ED%9A%8C%EC%97%90%EC%84%9C%20%EC%9C%A0%EA%B5%90%EC%9D%98%20%EC%9C%84%EC%B9%98-7260_05_.jpg)
[유학사상] 현대사회에서 유교의 위치
다.
종합: 정립과 반정립은 서로 모순을 극복하고 하나의 새로운 과정 생성
하나의 주장이나 사물의 존재가 전적으로 긍정
그러나 유교자본주의론은 국제통화기금(IMF)체제가 초래된 1997년 11월을 고비로 급격히 기세가 꺾인다.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의 김경일(상명대)교수에게 들어본다. 그러던 와중 우연히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라는 책을 읽게 되었는데 매우 흥미로운 내용들인 것 같아 이번 토론의 주제를 `현대사회에 있어서의 유학사상에 대한 찬반론`으로 정하였다.
정립: 들어가는 말… 요즘 우리사회는 정말 어수선 하다… 신문에 써있는 기사들을 보고 있노라면 도대체 어디서 부터가 잘못 된 것인지를 알수가 없을 정도로 꼬인 우리 사회를 볼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