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교육] 해석학의 歷史(역사) / ▶ 해석학의 歷史(역사) (1) ◀ 적분 concept(개념)의 기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4 07:54
본문
Download : [수학교육] 해석학의 역사.hwp
실진법을 가장 잘 응용한 학자는 아르키메데스를 꼽을 수 있다 아르키메데스는 포물선 영역의 면적을 구하였다.
„. 아르키메데스의 평형법
순서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수학교육] 해석학의 역사-1121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88%98%ED%95%99%EA%B5%90%EC%9C%A1%5D%20%ED%95%B4%EC%84%9D%ED%95%99%EC%9D%98%20%EC%97%AD%EC%82%AC-1121_01.gif)
![[수학교육] 해석학의 역사-1121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88%98%ED%95%99%EA%B5%90%EC%9C%A1%5D%20%ED%95%B4%EC%84%9D%ED%95%99%EC%9D%98%20%EC%97%AD%EC%82%AC-1121_02_.gif)
![[수학교육] 해석학의 역사-1121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88%98%ED%95%99%EA%B5%90%EC%9C%A1%5D%20%ED%95%B4%EC%84%9D%ED%95%99%EC%9D%98%20%EC%97%AD%EC%82%AC-1121_03_.gif)
![[수학교육] 해석학의 역사-1121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88%98%ED%95%99%EA%B5%90%EC%9C%A1%5D%20%ED%95%B4%EC%84%9D%ED%95%99%EC%9D%98%20%EC%97%AD%EC%82%AC-1121_04_.gif)
![[수학교육] 해석학의 역사-1121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88%98%ED%95%99%EA%B5%90%EC%9C%A1%5D%20%ED%95%B4%EC%84%9D%ED%95%99%EC%9D%98%20%EC%97%AD%EC%82%AC-1121_05_.gif)
…. 카발리에리의 원리
▶ 해석학의 歷史(역사) (1) ◀ 적분 concept(개념)의 기원 1. 에우독소스의 실진법(...
ƒ. 에우독소스의 실진법( 착출법, method of exhaustion )
미분槪念은 기하학적인 접선을 구하는 문제가 해석기하학의 발명에 따라 대수적으로 접선의 식을 구하는 문제로 바뀌면서 자연스럽게 나타났다.
갈릴레이의 제자 카발리에리는 무한소에 관한 논문 ‘불가분량의 연속 기하학’을 통해서 넓이는 불가분량인 선분으로, 입체는 불가분량인 넓이로 이루어졌다는 견해를 보였다.
미분 槪念의 기원
적분 槪念의 기원
이 방법은 양의 무한 가분성을 가정한 후 다음 명제에 기초하고 있다
“만일 어떤 양으로부터 절반 이상의 부분을 빼내고 다시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절반 이상의 부분을 빼내는 과정을 계속할 경우 결국 어떤 정해진 양보다도 작은 양만 남을 수 있다 ”
그가 생각한 불가분량은 본질적으로 정적분 槪念의 기초가 되지만 이 불가분량이라는 槪念을 정립하는 용어는 정확하지 않았다. 아르키메데스의 사고 천칭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는데, 그는 평면 곡선으로 둘러싸인 내부의 넓이와 곡면으로 둘러싸인 부피를 구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을 발견하였다.
Download : [수학교육] 해석학의 역사.hwp( 68 )
ƒ. 데카르트의 해석적 ...
[수학교육] 해석학의 歷史(역사) / ▶ 해석학의 歷史(역사) (1) ◀ 적분 concept(개념)의 기원
▶ 해석학의 역사 (1) ◀
평형법의 기본적인 생각은 다음과 같다.
이 방법은 일단 하나의 식이 알려지면 이를 입증하기 위한 엄밀한 도구는 될 수 있으나, 어떤 결과를 발견하는 데는 무익하다.
수학교육 해석학의 역사 ▶ 해석학의 역사 1 ◀ 적분 개념의 기원
어떤 도형의 넓이나 부피를 찾기 위해서 그것을 매우 많은 얇고 평행한 가로 평면 또는 세로 평면으로 자르고 그 조각을 넓이와 무게중심을 이미 알고 있는 도형과 평형을 이루도록 주어진 지레의 한 끝에 매단다.
실진법은 흔히 에우독소스가 제논의 역설에 대한 대응으로 고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해석학의 역사 (1) ◀ 적분 개념의 기원 1. 에우독소스의 실진법(...
아르키메데스는 실진법에서 더 나아가 구적법의 결과를 발견하기 위한 방법으로 평형법을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