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관리] 능력주의 인사시스템 정착을 위한 평가제도 改善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24 15:51
본문
Download : 능력주의 인사시스템 정착을 위한 평가제도 개선방안.hwp
1) 절대고과와 상대고과
고과자는 상사에 대한 고과가 주를 이루지만 최근 동료 혹은 부하직원에 의한 고과를 함께 실시하는 다면고과 등이 도입되고 있다. 직원을 여러 관점에서 평가하고 자신을 정확하게 돌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평가된다
Ⅱ. 한국인사제도의 變化경향
설명
[인사관리] 능력주의 인사시스템 정착을 위한 평가제도 改善방법
개인고과가 주로 이루어지지만 개인고과만으로 모든 평가를 완료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본다.
2) 개인고과 및 집단고과
Download : 능력주의 인사시스템 정착을 위한 평가제도 개선방안.hwp( 88 )
Ⅰ. 들어가며
능력주의 인사시스템 정착을 위한 평가제도 개선방안이라는 주제의 리포트입니다.
4) 고과자
다.
순서
3) 능력, 업적, 태도에 대한 평가방법과 가중치 부여
절대고과는 피고과자의 속성 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장점(長點)이 있는 반면에, 고과자의 훈련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각종 경향오류 등이 발생하여 고과결과를 신뢰할 수 없게 되기도 한다.
2. 인사고과 제도설계에서의 주요 의사결정(방침)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Ⅳ. 인사고assignment도의 운영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직무, 구성원들의 의식 등을 종합하여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평소에는 目標(목표)에 대한 점검 및 고과를위한
Ⅲ. 능력지향의 평가시스템의 설계
따라서 개인고과는 승급이나 승진, 연봉액, 인센티브 등을 결정할 때 사용하고, 집단고과는 예기치 않은 인센티브 등을 결정할 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능력주의 인사시스템 정착을 위한 평가제도 改善방법이라는 주제의 리포트입니다.
인사, 능력주의, 평가제도, 개선, 평가 개선
5) 고과시기 및 회수





고과를 수차에 걸쳐서 시행한다고 보면 정확한 평가결과가 나오겠지만 시간과비용이 들게 된다 또한 고과를 1년에 한번만 하게 되면 目標(목표)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시간적 오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개인은 혼자서 작업하는 것이 아니라 팀내에서 의사소통을 통하여 업무를 처리하게 되므로 집단에 대한 평가도 필요하다고 본다.